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8>한국 파병부대를 가다-한국군 파병의 역사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6초

<8>한국 파병부대를 가다-한국군 파병의 역사는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오쉬노부대 2지은 지난 1월말 바그람기지를 떠나 한국의 독자적 기지인 '차리카기지'로 이전에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현재 우리군은 전 세계 14개국 17개 지역에 1400여명을 파병하는 등 세계 평화에 앞장서는 국가로 발돋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파병 역사는 17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50년 6월 26일 미국의 공식요청으로 개최된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에 적대행위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가결한다. 하지만 북한군의 침략이 계속되자 안보리는 6월 28일 한국이 북한의 공격을 격퇴하는데 필요한 원조를 다른 회원국에도 권고하는 결의안을 가결시킨다.


이 결의안으로 미국은 해공군의 작전지역을 한반도 전역으로 확대하고 지상군도 참전시킨다. 이어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도 파병을 제의해 왔다. 6.25전쟁에 참가한 나라는 총 16개국이다. 이들 나라군인들은 6.25전쟁에서 전사자만 5만 7933명 부상자 48만 1155명, 실종자 1047명, 포로 5773명의 피해를 입었다.

1991년 유엔 회원국이 되면서 유엔의 요청에 따라 1993년 처음으로 소말리아에 공병부대 250명을 파견한 것이 PKO 활동의 시초가 된 것이다.


이듬해 서부 사하라에 의료지원단(20~40명)을 파견해 2006년까지 유엔 요원과 지역 주민을 상대로 의료활동을 펼쳤고, 1995년 10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200명 규모의 공병대대를 앙골라에 파병했다. 1999년 10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3년간 420명의 상록수부대(보병부대)를 동티모르에 보내 지역재건과 치안회복 임무를 수행했다.


<8>한국 파병부대를 가다-한국군 파병의 역사는



2001년 9.11 테러 이후 아프간에 해.공군 수송지원단(상륙함 1척 171명, C-130 수송기 2대 76명)을, 2002년 2월 의료부대인 동의부대(60~100명), 2003년 2월 공병부대인 다산부대(150명)를 각각 파견해 2007년 12월까지 임무를 수행했다. 2004년 7월에는 이라크 아르빌지역에 자이툰부대(300명)를 파병, 2008년 12월까지 4년 3개월간 평화재건 임무를 수행해 동맹국들로부터 가장 모범적인 활동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국제평화유지활동은 크게 '유엔 평화유지활동'과 '다국적군을 통한 평화유지활동'으로 구분된다.


유엔이 주도하는 유엔평화유지활동은 당사국 동의아래 활동하고 있으며 군수지원, 파병경비 등 비용은 유엔에서 지원한다. 현재 우리군의 레바논 평화유지단과 코트디부아르 평화유지군이 해당된다.


지역기구 또는 특정국가가 주도하고 유엔안보리 결의 승인이 있어야 하는 다국적군을 통한 평화유지활동은 군수지원, 파병경비 등 비용을 참여국가가 부담한다. 우리 군이 지원한 아프가니스탄 동의·다산부대, 이라크 자이툰부대가 여기에 해당된다.


<8>한국 파병부대를 가다-한국군 파병의 역사는



미 중부사 협조단으로 참모 자격으로 플로리다에 파병됐다. 해양안보작전에는 아덴만의 청해부대, 연합군 사령부, 미 아프리카통합사령부 소속 ‘호아 연합합동임무부대’(CJTF-HOA)에 참모자격으로 파병됐다. 이들 파병수는 320여명이다. 청해부대는 지금까지 우리 선박 110여척을 근접 호송했으며 북한과 이집트 등 타국 선박 31척을 안전하게 호송하고 304척의 안전 항해를 도왔다.


유엔 주도의 평화유지활동의 첫 출발은 1948년 팔레스타인 지역 정전감시단(UNTSO)이다. 이를 시작으로 60여년간 120개국 60개 지역에 약 100만명의 파병됐다. 한국군은 1993년 소말리아 평화유지단에 공병대대를 파견하면서 평화유지활동을 시작했다. 1994년에는 서부 사하라에 의료지원단을, 인도·파키스탄 및 그루지아에 군 옵서버(감시단)요원을 각각 파견했다.


국방부는 상시 해외 파병체제를 갖추기 위해 지난 7월1일 특전사 특수임무단을 해체하고 1000명 규모의 파병전담부대를 창설했다. 국제사회의 요청이 있으면 언제라도 평화유지활동을 위한 병력을 파견하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다.


<8>한국 파병부대를 가다-한국군 파병의 역사는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