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MBA Special]"일본 대지진發 인플레, 기업조직 정비하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BCG Perspectives] 글=울리히 피던 & 다니엘 스텔터 BCG 파트너(Ulrich Pidun & Daniel Stelter BCG Partner)


일본 대지진으로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기업 역시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조직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대비를 해 둔 기업에는 경쟁자를 제치고 올라설 새로운 기회이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대응 기업을 만들려면 회사 수익과 자본 지출면에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얼마나 받고 있는지 평가하고, 회사를 인플레이션의 영향에서 보호하는 전체 계획을 세우는 두 방향의 과정을 밟아야 한다. 인플레이션 상황 아래서 회사 수익은 ▲생산비용이 인플레이션에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와 ▲비용을 소비자에게 얼마나 쉽게 전가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그에 따라 표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MBA Special]"일본 대지진發 인플레, 기업조직 정비하라"
AD


오른쪽 위는 인플레이션으로 수익을 보는(beneficial inflation) 기업군이다. 생산비용이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가격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쉽게 떠넘길 수 있는 석유, 가스, 철광, 비철금속 산업들이 대표적이다. 이런 기업들은 ▲인플레율보다 더 높이 가격을 올려 수익을 내거나 ▲다른 기업들이 가격을 끌어올려도 기존 가격을 유지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면 된다.


오른쪽 아래는 인플레이션으로 수익이 격변하는(turbulent inflation) 산업들이 모여 있다. 생산비용과 소비자에 대한 가격상승 전가 두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소매업이 여기에 속한다. 이 때는 속도와 협동이 핵심 성공법이다. 재고 부문과 판매 부문이 서로 협조해 비용 상승에 즉각 대응해야 한다.


왼쪽 아래에 속한 산업들은 인플레이션으로 매우 힘들 것(fatal inflation)이다. 이에 속한 기업들은 현재 공급계약을 살펴보고 혹시 재협상의 가능성이 있는지, 비용을 깎기 위해 계약을 다시 맺을 수 있는지 등을 따져봐야 한다. 판매계약도 계약 기간을 줄일 수 있는지 등을 생각해 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약산업이나 법률시장과 같이 인플레의 영향이 적은 왼쪽 윗부분(soft inflation)이 있다. 당장 영향을 감지하지 못해도 인플레이션을 주시하면서 경쟁자들의 인플레이션 영향을 분석하면서 새 사업기회를 노려야 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조직 면에서도 기업은 인플레이션에 대비가 돼 있어야 한다. 구매부서는 실시간 정보에 의거해 투입비용을 재빨리 줄이고, 필요하다면 판매가격을 높일 수 있게 판매부서와 자주 대화를 나눠야 한다. 특히 구매부서는 재계약이나 원료 공급처를 변경해 투입비용을 줄일 수 있는지 정보를 포착해야 한다. 또 재무와 회계부서가 인플레이션에 대비해야 함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회사가 인플레이션에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했다면 마지막으로 '보호 계획'을 세워야 한다. 회사 전체에 걸쳐 안티인플레이션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고, 경영자들은 인플레이션을 염두에 두고 생각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또 단순히 운용이 아닌 경영전략의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에 접근해 들어가 더 나은 사업의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모색해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