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카카오톡' 특정 버전 보안 취약점 발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4초

'카카오톡' 특정 버전 보안 취약점 발견 카카오톡 서비스도 사용자가 1천만명을 넘어서자 통신사 망에 부하를 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네트워크 정보보안 전문기업 윈스테크넷(대표 김대연)은 '카카오톡' 1.3.4 버전이 설치된 안드로이드폰에서 한시적으로 암호화되지 않는 취약점이 발견됐다고 4일 밝혔다. 이 버전의 사용자는 '카카오톡' 전체 사용자의 1% 정도에 불과하지만 보안 강화를 위해 업데이트가 요망된다.


윈스테크넷에 따르면 안드로이드용 카카오톡 1.3.4 버전은 무선인터넷(WiFi)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초기 부팅에서부터 특정 시간까지 암호화가 되지 않은 상태로 패킷이 전송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취약점에 노출된 안드로이드폰으로 통신을 할 경우 대화 내용을 감청당할 수 있으며, 감청한 데이터를 조작해 불특정 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스팸 형태의 대량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고 윈스테크넷은 설명했다.


이 경우 공격자가 의도적으로 '카카오톡' 서버를 대상으로 대량의 트래픽을 전송하는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까지 가능해 '카카오톡'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윈스테크넷 침해사고대응센터(WSEC) 손동식 이사는 "카카오톡 1.3.4 버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는 최신 버전의 카카오톡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고 말했다.


윈스테크넷은 지난 3월 30일 카카오 측에 취약점 분석내용을 전달했으며, 카카오는 해당 안드로이드용 버전을 포함한 과거 버전 일부에 대해 서비스를 중단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최신 버전에는 새로운 기능뿐만 아니라 보다 안전한 보안 조치들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김철현 기자 k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