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원자재값 상승에 中企고통 커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9곳 이상이 원자재값 상승으로 기업 경영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중소기업 경영실태’를 30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400개 업체 중 91.3%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기업경영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응답자 중 92.3%는 지난해 3월 대비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다고 답했다. 평균 상승 폭은 25.9%였다.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일부라도 반영한 기업은 37.4%(일부반영 26.8%, 모두반영 10.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값 상승에 中企고통 커져
AD


원자재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지 못한 이유는 ‘가격경쟁력 약화로 인한 매출감소 우려’(51.1%)가 가장 많았다. ‘납품처의 가격인상 거부’(42.9%)가 뒤를 이었다.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도 상황은 다를 게 없었다. 지난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추진대책’이 발표되고 하도급법이 개정됐음에도 현장에선 상황이 나아지고 있지 않은 것이다.


대기업에 납품하는 곳(175개사) 중 원자재 가격 인상분이 반영됐다고 응답한 기업은 35.4%(일부반영 29.7%, 모두반영 5.7%)로 일반 중소제조업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인상하지 못한 이유로는 ‘납품처의 가격인상 거부’(55.6%), ‘가격경쟁력약화 우려’(38.4%) 등이 꼽혔다.


원자재값 상승에 中企고통 커져


또 전체 중 91.3%는 ‘현재 원자재 가격 수준에 대해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특히 ‘매우 부담’이 72.0%에 달해 대부분 중소기업이 원자재값 인상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값 상승에 대한 대응방안으로는 ‘원가절감’(45.5%)을 한다는 곳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제품가격인상’(34.8%), ‘판로확대’(19.8%), ‘원자재 구매 거래처 다변화’(17.3%) 순이었다.


정부에게 바라는 점을 묻자 37.8%는 “원자재 구매 관련 자금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그밖에 ‘국제원자재 회사를 설립해야 한다’가 16.5%, ‘비축 물량을 확대해야 한다’가 16.0% 등이었다.




이승종 기자 hanaru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