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도 이익에는 별로···후발사는 더 심각
정부와의 협의가 관건···인상 필요성 강조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포스코가 일본 지진해일 피해에 따른 수급차질로 수요업계가 공급량 확대를 요청받았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원료값이 올라 제품을 만들어도 수익은 제자리 또는 더 떨어지는데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가격을 올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에 맞춰 가격제도를 운영하던 후발사들도 덩달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일본 동북부지역 지진해일로 일본 제철소들이 제철소 피해 및 전력 부족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함에 따라 국내 수요산업인 자동차·조선·전자업계의 철강제품 확보난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수요업계들은 포스코에 공급량 확대를 요구했고, 포스코는 최근 생산·판매·수주 분야 인력을 뽑아내 고객사를 지원하는 ‘일본 지진피해 고객사 지원 TF’를 구성해 증산을 포함한 올해 철강 생산 전망에 대한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다.
우선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안은 올해 예정돼 있는 포항과 광양제철소내 제품 생산라인의 설비보수 일정중 4월 이후 추진분을 하반기 또는 내년으로 연기하는 것이다. 보수를 하려면 공장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데, 이러한 보수작업만 연기해도 상당량의 증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현재 고로가 풀가동되고 있는 상황이라 열연과 냉연 등 하공정 설비만 계속 가동하면 제품 생산은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건설중인 신 공장의 준공일자를 앞당길 수도 있으나 포항 신제강공장 등이 이미 완공됐고 나머지는 새로 착공할 예정이기 때문에 당장의 수요-공급 불균형 상황에는 영향이 거의 없다. 따라서 현 상황이 하반기를 넘어서까지 장기화 될지가 올해 전체 증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복병은 역시 ‘가격’이다. 포스코는 당초 이달말경으로 예정했던 4월 이후 가격 인상안 발표 계획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내부적으로는 이 정도 수준의 인상안을 작성한 것으로 보이지만 상황이 여의치가 않기 때문이다. 가격을 인상하지 못하면 증산이 오히려 포스코를 비롯한 철강사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원료값 상승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익률이 큰 폭으로 감소했거나 마이너스가 됐고 4월 이후에는 올해 추가 인상된 가격에 따라 원료를 구매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정부의 강력한 압박이 부담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최근 기름값, 전기요금 등 물가 인상을 억제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 때문에 쉽사리 가격 인상을 언급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면서 “여기에 일본 지진해일이 철강제품 수요에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는데, 판매가 늘면 가격이 올라도 이를 상쇄할 수 있다는 분위기로 몰고 있어 우리로서는 답답할 노릇이다”고 하소연했다.
포스코는 일단 내부적으로 현 상황을 재검토한 뒤 모든 것을 결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부와의 협의 결과에 따라 향후 일정에는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며, 따라서 가격 인상 및 생산 확대의 구체화 된 수치가 공개되는 데에는 늦어도 다음달 하순에서야 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채명석 기자 oricms@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