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소폭 상승세로 출발했던 코스피 지수가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전날 코스피가 장초반 상승 폭을 반납하며 마감한 점이나, 여러 번에 걸친 삼성전자의 100만원선 안착시도 무산 등에서 볼 수 있듯, 지수는 현재 고점 돌파와 안착 과정에서의 부담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다. 설 연휴를 앞두고 있다는 점 역시 단기적으로 투자자들의 적극성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특히 전날 국제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AA-'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한 점도 장 초반 어느 정도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에 따른 증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무디스, 피치 등 나머지 국제 신용평가기관들이 일본의 신용등급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고 밝힌 점,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감이 강화되고 있는 국면이라는 점 등이 이번 조치에 따른 영향을 제한적으로 만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日 재정적자..남유럽 국가들과 다르다"= S&P가 일본의 신용 등급을 하향 조정한 것은 일본 정부의 재정 적자가 당분간 개선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S&P는 일본의 정부 부채 비율이 2020년 중반에 가서야 줄어들기 시작할 것이라며, 그 수준은 2010 회계연도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9.1%에서 2013년에도 8.0%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재정 적자가 크고 정부 부채가 많을 경우 재정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일부 유럽 국가들이 보여줬다. 그러나 증시 전문가들은 일본이 재정 위기로 남유럽 국가들처럼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진단했다. 일본은 순채권국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대표적인 채권국인데다 주요 채권자들 역시 내국인이라는 점에서, 최악의 경우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중앙은행을 통해 문제해결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재정 적자가 크더라도 경상수지가 흑자를 유지하고 있거나, 기축 통화국이거나, 국채를 자국민이 대부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재정 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일본은 이 세 가지에 모두 해당되기 때문에 재정 위기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가 재정 적자에 대한 부정적 심리를 환기시키는 정도의 영향은 줄 수 있겠지만 실질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美 정부부채 남유럽 국가들보다 높다는데.."= 미국 등 다른 선진국의 신용등급 강등 우려도 제기됐다. 미국은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재정상태가 급격히 악화됨에 따라 재정적자와 정부부채 비중이 남유럽 국가들보다 더 높은 상황이다. 더군다나 미국의 경우 국채를 보유한 채권자의 절반 가량이 외국인이다.
이종성 하나대투증권 애널리스트는 "외국인 채권자 비중이 10%가 되지 않는 일본과 비교해 보면 만기시 상환압력은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며 "미국의 상황이 일본보다 더 열위에 있다는 점에서 잠재적인 불안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국 등 타 선진국의 강등 우려는 제한적이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박형중 우리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미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국가채무 및 재정적자 문제가 심각하나 미국의 경우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일본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데다 정부의 재정감축 의지가 높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낮다"고 진단했다.
◆"외환시장 변동성..수출주 괜찮을까?"= 이번 조치가 글로벌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단기적인 조정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우려 역시 존재한다. 그러나 엔 약세, 원·엔 환율 하락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당장은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설명이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사례를 제외하고 일본 신용등급 조정이 총 네 차례 걸쳐 있었지만 경험적으로 신용등급 조정 방향과 엔화 방향성은 일관성이 없다"며 "달러 방향성 또는 엔캐리 강도가 오히려 더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현 시점에서 엔 약세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는 근거로는 미국의 제2차 양적완화(QE2)가 진행 중인 상황에 본질적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기 어렵다는 점, 엔캐리가 부활하기에 내외 금리 차나 엔 약세 전망이 부족하다는 점 등을 꼽았다.
IT, 화학, 조선, 자동차 등 수출 산업의 피해 역시 단기적이거나 제한적일 것이라는 목소리가 많았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엔화가치 하락과 이에 따른 원·엔 교역 환율의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는 예상해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도 단순히 교역환율이라는 단일 변수로 평가할 사안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다만 미국 경기 상승이 지속되고 QE2가 예정대로 종료되는 상황을 가정한다면 오는 6~7월경에는 엔·달러 환율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지난해 엔 강세 전망이 자리잡으면서 일본으로 단기성 자금이 많이 유입됐는데 단기성 자금은 엔화 전망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엔·달러 환율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유리 기자 yr6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