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검단신도시 중앙대 캠퍼스, 필요하긴 한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인천도시개발공사, 캠퍼스 설립 비용 2000억원 조달 방안 놓고 고민 중

검단신도시 중앙대 캠퍼스, 필요하긴 한데… 검단신도시 위치도.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검단신도시를 조성 중인 인천시ㆍ인천도시개발공사가 중앙대학교 캠퍼스 유치를 두고 고민에 빠져 있다.


중앙대가 요구하는 공사 비용 2000억원을 대주려니 재원 부족에다 전체 사업성 저하 우려에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시와 인천도개공은 지난해 6월 중앙대와 MOU를 맺고 검단신도시 2단계 지구 일부에 66만㎡ 규모의 캠퍼스 조성을 추진 중이다. 현재 중앙대의 학교 건립 비용 2000억원 조달 요구를 놓고 협상을 하고 있다.


시ㆍ인천도개공은 검단신도시의 택지ㆍ주택 분양 활성화, 자급 자족 도시 기반 조성을 위해선 중앙대 캠퍼스 조성이 필수적이라는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하고 있긴 하다.

이공계열 8000여명이 상주하고 대학 병원까지 이전하는 중앙대 캠퍼스가 들어서야 상권 활성화, 일자리 창출, 인구 유입 등으로 부동산 침체기에 착공하는 검단신도시 개발의 사업성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협상은 벽에 부딪힌 상태다.


우선 중앙대에 2000억원을 주는 대신 사업성 보전을 위해 녹지 99만㎡를 없애고 중ㆍ대형 평형 위주로 설계된 아파트도 소형 평형 위주로 바꿔 가구수를 늘리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안은 '녹색 친환경 도시'라는 조성 방향에 맞지 않는다는 반발에 직면해 있다.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녹지율도 31.8%에서 26.4%로 5.4%나 감소해 다른 신도시(30%)보다 훨씬 적어 진다.


결국 좁고 복잡한 빽빽하게 소형 아파트만 들어찬 회색 도시로 조성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중앙대에 캠퍼스 인근 주거ㆍ상업용지 등의 개발권을 주고 개발 이익금으로 공사비를 조달하게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이 경우 현재와 같은 부동산 경기 침체 상황 속에선 개발 이익을 내기 어렵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이밖에 원형지 가격에 수의계약으로 땅을 넘기는 것도 국토해양부의 택지개발지침에 어긋나 해법 마련이 필요한 상태다.


인천도개공 관계자는 "사업성도 살리고 캠퍼스도 유치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구상이 논의되고 있다"며 "택지 공급 시기에 맞춰 캠퍼스도 입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될 수 있는 한 빨리 협상을 매듭지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