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유사 '적정 기름값' 항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李대통령 발언에 업계 조목조목 반박 "더 내릴 여지 없다"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박연미 기자] 이명박 대통령의 '기름값 적정' 발언이 유류가 적정성 논란에 기름을 끼얹었다. 유류 가격 인하 압박에 정유업계는 곤혹스러운 입장을 보이면서도 2008년과는 현재 상황은 다르다며 조목조목 되짚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3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78차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서민물가 안정대책을 논의하며 "(국제유가가) 140달러 갈 때 (휘발유 가격이) 2000원 했다면, 지금 80달러 수준이면 조금 더 내려가야 할 텐데"라며 "주유소의 행태가 묘하다"고 꼬집었다.

또 지식경제부를 비롯한 정부부처도 '서민물가안정대책'을 통해 석유가격점검반 운영, 석유가격체계 재검토 등의 대책을 내놓으며 주유소 가격에 대한 통제를 나설 태세다.


그러나 정유업계는 청와대와 정부의 이 같은 대책이 현실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한 발언이라고 꼬집었다. 2008년과 비교하면 국제유가는 당시보다 낮지만 환율과 세금 구조를 따지면 가격을 내릴 여지가 없다는 설명이다.

지난 2008년 7월 셋째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가격이 사상 최대로 치솟았을 때 환율은 달러당 1010원 내외에서 거래됐다. 현재는 원ㆍ달러 환율은 1150원선을 오르내리고 있어 원유도입에 부담이 큰 상황이다. 또 원유의 수입관세도 1%에서 3%로 올랐고, 유류세도 670원에서 910원까지 상승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가격 구조에서 가격을 더 내릴만한 여지는 사실상 없다"며 "그렇다고 공식적으로 밝힐 수 있는 입장도 아닌 상황"이라며 볼멘소리를 토해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금도 시민단체 감시단과 석유공사에서 운영하는 오피넷(www.opinet.co.kr) 등을 통해 휘발유ㆍ경유 등 정유 제품의 가격이 적나라하게 노출되고 있는데 뭘 더 어떻게 내리란 말이냐"고 푸념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13일 물가대책발표와 동시에 SK에너지와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등 6개 정유사에 대한 대규모 현장조사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윤재 기자 gal-run@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