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제역 안락사 약품 부족 생매장 사태

시계아이콘01분 0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구제역 살처분 대상 가축이 140만 마리를 넘어선 가운데 가축들의 안락사에 필요한 약품까지 부족 현상을 보여 전국적으로 '생매장 사태'가 늘고 있다.


또한 방역에 투입된 공무원 일부가 과로로 쓰러지는 등 인력 부족까지 더해져 살처분 인근의 토양과 지하수의 2차 오염이 우려될 상황까지 치닫고 있다.

11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은 지금까지 6개 광역시·도, 51개 시·군 총 112농가에 양성 판정이 내려졌다.


이로 인해 구제역 발생지를 비롯해 주변 농가와 예방적 살처분 농가 등 모두 3500농가 140만4000마리의 우제류(발굽이 두개로 갈라진 가축)가 살처분됐거나 매몰중이다. 매몰된 우제류는 소(11만1000마리)와 돼지(128만9000마리)가 대부분이다.

이런 가운데 살처분을 위한 약물을 독점공급하는 제약회사의 비축분과 원료가 바닥나 약물 공급이 최근 끊긴 상태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제약사가 오는 14일까지 해외에서 원료를 들여와 약품 생산을 재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약물을 제조하는데만 1주일이 걸려 빨라야 21일께나 약품이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방역당국은 각 지자체에 전기 충격기나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살처분을 하는 방법을 검토하라고 지시하고 있으나 경험이 전혀없는 지자체로서는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전체 살처분 대상이 많은 돼지들은 사실상 생매장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들이 몸부림치는 과정에서 비닐이 찢기거나 침출수가 새어나와 지하수와 토양을 오염시키는 '2차 오염'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해당 지자체들은 당연히 비상이 걸렸다.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몰리며 생매장을 해 왔지만 2차 오염 우려가 제기되면서 이마저 강행하기 어려운 형편이 된 것이다.


여기에 현장에 투입된 공무원들은 연일 계속된 강행군으로 녹초가 돼 가고 있다.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40여일 동안 계속해서 야근과 새벽근무를 해왔으니 견뎌내는것 자체가 무리다.


각 자치단체와 방역당국은 부족한 인력을 채우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인력시장 등에서 사람을 구하고 있으나 필요 인력을 제 때 확보하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이 같은 이유로 살처분이 지연되자 구제역 백신 개발을 국내에서도 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우리나라는 구제역 백신을 전적으로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


구제역 상시 발생 위험이 낮고 백신 생산의 위험성 등의 이유에서다. 이에 농식품부는 총 800만 마리 접종분의 백신을 해외에서 들여올 계획을 잡아놓은 상태다.




고형광 기자 kohk010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