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길잃은 한나라, '안상수 사과'에도 갈 길은 첩첩산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한나라당이 길을 잃고 우왕좌왕하고 있다. 지난 8일 본회의에서 새해 예산안 처리에 성공하며 기세를 올렸지만 이후 줄곧 내리막길이다. 주요 민생예산 누락에 따른 후폭풍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대북정책 등에 대한 이견은 물론 안상수 대표의 이른바 '롬살롱 자연산' 발언 파문으로 더욱 곤혹스러운 처지에 내몰렸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한나라당의 앞길은 한마디로 첩첩산중이다.


◆고개숙인 안상수...野 사퇴 촉구 전방위 공세


안상수 대표는 26일 여의도 당사에서 대국민 사과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들끓는 비난여론을 무마시키기 위한 것. 안 대표는 성명서를 읽는 2분여의 시간동안 세 차례에 걸쳐 허리를 90도로 숙이며 사과했다. 안 대표는 "이 어려운 시기에 여당 대표로서 적절하지 않은 발언과 실수로 인해 큰 심려를 끼쳐 드려 대단히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어 "지난 며칠간 반성의 시간을 통해 여당 대표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깊이 느꼈다"며 "앞으로 여당 대표로서 모든 일에 더욱 신중을 기하겠다"고 약속했다.
야당은 거칠게 반발했다. 민주당은 "청와대가 안상수 대표를 유임시킬 생각이라고 한다. 이는 결국 당과 국회에 대한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민주노동당도 "좌파주지와 보온병 발언에 이은 자연산 발언은 공당의 대표로 보기에 최소한의 인격마저 의심되는 상황"이라며 "조용히 물러나는 것만이 유일한 길"이라고 꼬집었다.
야당의 반발과는 달리 여권 내부에서는 책임론이 한동안 수면 아래로 잠복할 전망이다. 안상수 체제의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조기 전대를 치르자니 비용과 부작용이 우려스럽고 2년 앞으로 다가온 차기 대권경쟁이 조기점화되면서 계파갈등이 불거질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 일각에서는 "여론이 심상치 않다"며 안상수 체제로는 차기 총선을 치를 수 없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여전하다. 리더십과 권위를 잃은 식물대표 체제로는 당의 활로 개척이 어려운 만큼 지도부 교체론은 언제든지 재부상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개각, FTA, 대북정책 등 주요 현안도 삐걱삐걱
안 대표의 구설수 문제 이외에도 한나라당이 처한 연말정국은 어느 하나 쉬운 게 없다.
우선 1월초로 예상되는 개각이 논란거리다.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지만 당에서는 이미 김무성 원내대표가 21일 연내 조기개각을 촉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공석 중인 감사원장, 국민권익위원장은 물론 교체가 예정된 지식경제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임명을 서둘러달라"고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개각 시기를 둘러싼 당청간 힘겨루기로 해석할 수 있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특히 개각 하마평에 올라있는 류우익 주중대사, 이동관 전 홍보수석, 박형준 전 정무수석 등 핵심 MB맨들이 대거 복귀할 경우 당의 반발은 더욱 커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아울러 대북정책과 한미 FTA 추가협상에 따른 국회비준 등 핵심 쟁점을 놓고 파열음이 커지는 것도 문제다. 햇볕정책의 성과 일부 수용 등 대북유화론의 채택을 놓고 당 지도부가 공개석상에서 연일 설전을 벌인 것은 물론 FTA 비준 시기를 놓고도 여야합의 우선과 조기처리 주장 등이 팽팽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한나라당은 부자감세 철회 여부로 당정청 전반이 백가쟁명식의 토론에 뛰어드는 등 큰 혼선을 경험했고 친서민 정책 추진의 주도권을 놓고 당 서민정책특위를 이끌고 있는 홍준표 최고위원과 당 정책위원회가 정면충돌한 바 있다.




김성곤 기자 skzer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