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산 표고버섯 종균시대 ‘활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국립산림과학원, 고품질 다수확 품종 ‘수향고’ ‘여름향’ 개발…‘천백고’도 육성 보급

국산 표고버섯 종균시대 ‘활짝’ 출원품목 수향고.
AD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국산 표고버섯의 종균시대가 열렸다.


1일 산림청에 따르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연구실은 새 표고품종 ‘수향고’, ‘여름향’, ‘천백고’ 개발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UPOV(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 체제 아래서 임가의 국산 표고 재배품종의 다양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3개 품종을 올부터 보급하면 국내 표고산업의 국제경쟁력이 크게 높아져 한해 740만 달러에 이르는 수입표고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국산 표고버섯 종균시대 ‘활짝’ 여름향.

또 국내 종균시장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일본산 종균을 쓰지 않아도 돼 UPOV의 신품종보호제도 적용에 따른 지불로열티 1200만 달러를 줄일 수 있다.


수향고는 대조품종인 산림4호보다 갓이 크고 두꺼우며 생산성은 원목 1㎥당 20kg(건표고)으로 산림 4호와 비슷하다.


그러나 1세대 생산량의 약 90%가 생산 1년차에 몰려있어 단기생산에 매우 유리한 품종이다.


버섯발생작업은 최저기온이 18℃, 최고기온이 28℃에서 하는 게 알맞다.


여름향은 대조품종인 산림2호보다 갓이 크고 생산성은 원목 1㎥당 25kg(건표고)로 매우 높다. 버섯발생작업은 최저기온이 18℃, 최고기온이 27℃인 날씨에서 하는 게 적당하다.


천백고는 중온성품종으로 대조품종인 산림 7호보다 4월에 최고급품질인 백화고를 생산하는 우량종균이다.


국산 표고버섯 종균시대 ‘활짝’ 천백고.

한편 천백고의 연구개발엔 지역공동연구의 하나로 충북산림환경연구소의 김성수연구원, 전남산림자원연구소의 오득실 박사 등이 참여했다.


버섯발생작업은 최저기온이 14℃, 최고기온이 22℃에서 하는 게 적당하다.


이들 새 품종은 지난달 15일 품종보호 출원됐다. 본 종균의 원균분양을 원하는 종균배양소를 통해 전국 표고버섯 재배자들에게 보급된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