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한국은행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지난 2분기 이미 잠재성장률 수준을 따라잡은 것으로 진단했다.
이중식 한은 조사총괄팀장은 지난 17~18일 인천 한은 연수원에서 출입기자들을 상대로 열린 워크샵에서 GDP갭이 플러스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그는 3분기 중 GDP갭이 플러스로 전환했다고 판단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2분기도 마이너스라고 하기 어렵다고 보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GDP갭은 경제 내 모든 생산요소를 투입해 인플레 없이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인 '잠재 GDP'와 실제 GDP사이의 차이를 나타낸 것.
GDP갭의 플러스 전환은 우리 경제가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나, 동시에 물가상승의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은의 금리인상에 대한 요구가 한층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한은 측은 GDP갭이 금리인상을 결정하는 지표 중 하나일 뿐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 팀장은 "(GDP갭) 마이너스가 축소되고 플러스로 빠르게 가는 것만은 확실하다"며 긍정적 전망을 제시하면서도 "우리경제 상황에서는 (GDP갭)마이너스=플러스가 비슷한 상황"이라며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김중수 한은 총재도 이 팀장의 발표 직후 가진 총재와의 대화에서 "(GDP갭) 레벨보다는 터닝포인트가 중요하다"며 수 차례 강조했다.
그는 "GDP갭이 1%냐 2%냐 하는 것을 (사람들이)굉장히 신경쓰는데, 그보다는 변화의 방향이 중요하다"며 "플러스에서 제로로, 제로에서 마이너스로 가는 터닝포인트가 정책 수립에는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물가상승 압박에 따른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해서도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성장을 하면 인플레가 생기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지만, 단지 그 인플레가 급격하게 가속화가 되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