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MB-박근혜 '국정 동반자' 발판 닦았다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손을 맞잡았다.


두 사람의 회동은 11개월만이지만, 양측에서 모두 "성공적인 만남"이라고 평가한 것은 이 대통령이 당선된 뒤 6차례 회동 가운데 이번이 처음이다. 청와대는 이번 회동은 두 사람은 물론, 당내 갈등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국정 동반자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했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지난 21일 오전 11시55분부터 오후 1시30분까지 95분간 청와대 본관 백악실에서 비공개로 진행됐다. 배석자 없었다. 박 전 대표도 측근 의원을 대동하지 않고 홀로 청와대를 찾았다.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은 "배석자 없이 두 분만 식사를 같이 했다"며 "회동 내용은 파악하지 못했다.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가 (회동내용을) 적절한 때에 소개해주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고 22일 밝혔다.

정 정무수석은 이어 "이 대통령이 오래전부터 박 전 대표를 만나야 한다는 생각을 해왔으며, 시기를 두고 고민을 해온 것으로 안다"며 "두 분이 밝은 표정으로 악수를 하고 사진 촬영을 했다"고 전했다.


여권 고위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향후 대선을 공정하게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박 전 대표는 친서민 정책과 4대강 살리기 등 집권후반기 국정운영에 협조하겠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안다"고 알렸다.


이 대통령은 이번 회동에서 '김태호 총리 후보자 지명이 박 전 대표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는 뜻을 명확히 하고, 2012년 대선에서 철저히 중립을 지키겠다는 의지도 밝힌 것으로 관측된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은 "두 분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와 경제 문제를 포함한 국내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며 "당내 문제와 관련해선 앞으로 한나라당이 국민의 신임을 잘 얻어 이명박 정부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을 위해 같이 노력해야 한다는 대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회동에서 두 사람의 묵은 갈등도 어느 정도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세종시 문제로 더욱 깊어졌던 앙금을 풀었다고 본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국정동반자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 전 대표의 역할론도 관심을 끈다. 이 대통령이 천안함 사태로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남북관계를 풀어내기 위한 모종의 역할을 맡길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특사나 대북특사가 그것이다.


박 전 대표는 이 대통령 당선인 시절인 2008년초 특사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했고, 여권 고위급 가운데 유일하게 과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만났던 경험도 있다. 회동에서 논의됐다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는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에게 차기 동북아지역 리더로서의 임무를 부여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집권후반기를 앞두고 가장 큰 장애물이었던 당내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을 평가해야 한다"며 "양측이 힘을 모아 흔들림 없이 국정을 운영하고 정권재창출에도 성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동 뒤에는 정 정무수석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이 대통령은 회동 하루전인 지난 20일 오후에 회동을 결심했고, 정 정무수석이 박 전 대표에게 이 대통령의 뜻을 직접 전달해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정 정무수석은 지난 한 달간 여러번 박 전 대표를 만나 이 대통령의 생각을 전하고, 또 박 전 대표의 속마음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대표는 회동을 끝내고 청와대를 떠나면서 정 정무수석에게 "이번 회동을 성사시키느라 고생하셨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회동에 만족감이 농축된 표현이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국정 동반자' 관계로 격상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이유다.


조영주 기자 yjch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