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장수' 정종환 국토장관 유임.. 향후 국토정책 방향은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8일 개각에서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을 유임시켰다.


2008년 2월 국토부 초대 장관직을 임명받은 이후 현재까지 2년6개월여간 보여준 강력한 추진력을 최고 통수권자에게 다시 인정받은 셈이다. 이 기간 동안 정 장관은 보금자리주택 건설, 4대강살리기사업 등 현 정부 최대 현안을 선두에 서서 이끌며 고비마다 잘 넘겨왔다.

세종시 수정안이 폐기되고 원안추진이 재확인됐지만 전 국무총리가 꺼낸 화두였던 데다 앞으로 지속 추진해야 할 4대강사업 등의 현안을 정 장관만큼 잘 처리할 대항마가 없었다는 것도 유임의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국토부, (구)건설교통부를 통틀어 유일무이한 장관직 역임기록을 세운 정 장관의 어깨가 가볍지만은 않다.

먼저 4대강살리기 사업을 둘러싼 논란을 해결해야 한다. 경남과 충남 등지에서는 여전히 재검토를 통해 추진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또 주택거래침체가 심각한 수준으로 치달으며 유보된 거래활성화대책을 어떻게 해결하느냐도 관심사다. 아울러 118조원에 달하는 부채를 보유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재무 개선 문제와 지방이전 문제도 해결해야 할 몫으로 남아있다


이런 막중한 부담 때문에 정 장관은 8일 유임 결정 후 집 근처 산으로 향하며 "임명 때보다 더 큰 중압감과 책임감을 느낀다"고 짧은 소회를 밝혔다.


정치적 판세가 더욱 혼란해진 상황에서 현 국토부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도 코 앞으로 닥친 정기국회, 국정감사 등을 무사히 넘길 수 있는 적임자로 지목된 정 장관의 활약이 주목된다.


황준호 기자 rephwan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