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호타이어 워크아웃 졸업 발목

끝없는 勞勞갈등에 타임오프 노사논의도 지지부진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올 초 워크아웃에 돌입한 금호타이어가 노동조합의 자중지란이라는 또 다른 난관에 부딪혔다.


금호타이어 노조 집행부와 소수 강경파간 갈등이 고조되면서 회사 측이 내세운 '워크아웃 조기졸업'이라는 목표달성에도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 회사 노조 집행부는 최근 총사퇴를 결의하고 지난 14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이를 통과시킬 방침이었다. 노-노 갈등이 수 개월간 이어지자 아예 선거를 통해 지도부를 새로 구성하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성원 미달로 개최는 무산됐다.


노조 내 갈등은 워크아웃에 돌입한 직후인 올 2월부터 시작됐다. 워크아웃 방침에 불만을 품은 강경파 노조원들이 '워크아웃 대응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가 이때 발족했다.

특히 올해 임금단체협상이 워크아웃 영향으로 '무난히' 넘어가자 공대위 활동은 더욱 거세졌다. 이 때문에 지난 5월에는 현 집행부에 대한 탄핵을 추진했으며 이달 초에는 스스로 지도부를 구성하기도 하는 등 조직을 확대했다.


이 같은 노조 분위기로 인해 회사 측의 걱정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회사의 정상화 노력이 자칫 물거품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현재까지 생산차질은 빚어지지 않고 있지만 이 같은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생산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워크아웃 조기졸업을 위해 노력하는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노사 관계도 우려된다. 대화가 사실상 어려워지면서 오해의 소지가 늘어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 1일부터 타임오프제가 시작됐지만 이에 대해 노사간 논의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회사 관계자는 "타임오프 시행에 따른 노사간 대화가 있어야 하는데, 노조 분위기 때문에 얘기를 꺼낼 수 없다"면서 "상황만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회사가 추진하고 있는 인력 풀 제도에 대해서도 노사의 시각차가 나타내고 있다. 회사 측은 최근 생산성 향상을 위해 결원이 생긴 공정에 대해 대체 인력 투입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는데, 노조는 이를 '풀 타임 근무제'로 받아들였다. 대화 불통에 따른 오해인 셈이다.


이 때문에 노조는 소식지를 통해 "사측이 풀타임 근무제 실시 방침을 확정했다"면서 "노-노 갈등으로 인해 집행부가 혼란한 시기를 틈타 밀어붙이기식으로 공고했다"고 강하게 반발하기도 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