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의 직장’ 대학 교직원사회에 경쟁 바람 부나

중앙대, 동국대 등 교직원 평가 본격화

[아시아경제 김도형 기자]방학 중 단축근무 등 좋은 근무 여건에 높은 보수, 정년까지 보장되면서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던 대학 교직원. 그러나 최근들어 교직원들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는 대학들이 나타나고 있다. 교직원 사회에도 경쟁 바람이 불지 주목된다.


◆ 중앙대, 교직원도 4등급으로 평가해 연봉인상률에 반영 = 지난 18일 중앙대학교는 교직원의 성과를 S, A, B, C 세 등급으로 평가해 연봉인상률을 차등설정하겠다고 밝혔다. 교직원을 본격적으로 평가하겠다는 신호다.

중앙대 관계자는 현재 300여명 교직원에 대한 업무 역량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7월쯤 평가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무 역량 평가는 일반행정직, 기술직, 사서직 등 각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분야별 역량의 최고 수준과 최저 수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한 후 비교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관계자는 “해당 상사들에 의해 1, 2차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고 평가에 불만이 있다면 평가당사자와의 조정과정도 거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앙대 측은 평가결과를 공개할 필요는 없겠지만 등급에 따라 연봉인상률 차이를 확실히 하면서 ‘상벌’을 분명히 하겠다는 방침이다.


◆ 대학도 이제 ‘경쟁시대’ = 이같은 조치에 대해 중앙대 관계자는 “지난 4월 교수들에 대한 4단계 평가를 진행할 때 이미 예정됐던 일”이라며 “학생, 교수, 교직원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을 대학 혁신의 3대축으로 삼고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학생들에 대해서도 상대평가체제를 강화하고 학사경고기준을 높이는 조치 등을 취하면서 비교적 소홀히 여겨져 왔던 교직원들의 경쟁력도 본격적으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대학들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데 교직원이 ‘신의 직장’으로 불린다는 건 이제 말이 안 된다”며 “사실 다른 대학들도 겉으로 드러내지는 않지만 교직원들에게 더 많은 능력과 성과를 요구하는 흐름”이라고 말했다.


◆ 동국대는 평가통해 ‘승진’과 ‘강등’ 처분.. 상벌 엄격히 = 이에 앞서 동국대는 지난 4월 전체 승진대상 교직원의 절반 이상이 승진에서 탈락했다는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연공서열을 파괴하는 인사체계를 도입한 결과다.


동국대는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직원 평가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고객과 성과, 내부프로세스, 역량 강화 등 4가지 분야에서 전화친절도, 성과지표, 혁신 마일리지 점수, 교육훈련 실적 등을 주요 평가 대상으로 삼는다.


이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동국대는 좋은 평가를 받은 직원은 빠르게 승진시키는 한편 저조한 평가를 받은 직원은 승진에서 누락시키거나 직위 강등, 심지어는 대기발령 처분을 한 한 것이다.


동국대 측은 “성과 평가가 조직의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업무 긴장감도 높이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며 “성과 평가를 도입하면서 최근 3년간 직원들의 인식이 크게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도형 기자 kuerte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