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집값 강소시대'...중소형이 중대형 역전 심화

53평짜리 2억씩 '뚝뚝' 중소형 불패시대.."집값이 기가막혀"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중소형 불패시대가 도래했다. 1~2인 가구가 도심에 몰리면서 중소형 주택의 주가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반면 그간 인기를 독차지했던 중대형 주택의 선호도는 떨어지면서 집값의 역전현상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작은 집이 비싸진다= 11일 부동산114가 서울 25개 자치구의 일반 아파트를 대상으로 집값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동작, 동대문, 금천, 강북구 등 4곳에서 전용면적 기준으로 중소형(60~85㎡)의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중대형(85㎡ 초과)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작은 집의 집값이 큰 집의 집값을 추월했다는 뜻이다.

먼저 동작구의 중소형의 매매가격(3.3㎡당)은 1555만원으로 중대형 집값 1543만원보다 12만원가량 높게 나타났다. 금천구는 중소형 집값 1025만원과 함께 소형(60㎡이하) 집값(1012만원)도 중대형(1002만원)보다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강북구는 중소형이 1119만원으로 중대형(1096만원)보다 23만원 가량 높았다. 동대문구도 중소형이 1253만원으로 중대형(1238만원)보다 높은 수준에 가격이 형성됐다.


인천을 제외한 수도권에서는 과천시와 의정부시에서 집값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과천은 소형의 3.3㎡당 가격이 3101만원으로 중소형(2767만원)과 중대형(2721만원)을 모두 제쳤다. 의정부는 중소형이 849만원으로 중대형(845만원)보다 4만원 높았다.


◇집값 역전현상의 이면= 이같은 집값 역전현상은 경기 불황 탓이다. 주택에 대한 수요가 뚝 끊긴 상황에서 소액을 가진 1~2인가구 수요만 늘고 있다. 이에 거래가 진행되는 중소형의 가격은 올랐다. 반면 중대형가격은 점차 떨어졌다. 시장은 호가를 어디까지 낮춰야 팔릴지에 대한 판단력을 잃어가면서 중대형과 중소형간의 가격 격차가 좁혀지다 역전까지 되는 상황이 온 것이다.


예를 들어 지난해말 입주가 시작된 은평뉴타운 2지구의 경우 101㎡(41평형)의 매매시세는 분양가에 1억5000만~2억원 정도의 프리미엄이 붙은 6억3000만~7억원선이다. 반면 134㎡(53평형)는 시세가 떨어져 있다. 매매시세는 6억5000만~7억8000만원대를 형성하고 있다. 53평형에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5000만원까지 붙은 탓이다.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53평짜리 호가가 2억원 이상 차이나는 경우가 많아 어느 선이 시세인지조차 모를 정도"라면서 "급매물을 처분해야 하는 집주인은 터무니없는 가격에도 매도하고 있어 집값 역전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황준호 기자 rephwan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