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철근값 전쟁...건설현장 이상없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비축분 있어 당장 수급차질 없어…장기화땐 공사중단 우려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철근값 협상 결렬이 ‘거래중단’이라는 극한으로 치달으면서 건설현장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특히 장기화땐 건설현장이 스톱되는 사태는 물론 감정싸움으로까지 번질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부동산경기 침체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 건설업계가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철강업계는 최근 철근값을 놓고 벌인 협상이 결렬되면서 이번 주부터 대형건설사들에 대한 철근납품을 중단한 상태다.

이에 건설사들은 이미 지난 2월부터 인상된 철근 가격에 대해 결제를 거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건설사와 철강업체들에 따르면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국내 대형 철강업체들은이번주부터 삼성물산과 대우건설 등 대형 건설사 7곳에 철근 납품을 전면 중단했다.


이들 7개 건설사와 30여개 대형·중견 건설사의 자재구입 관련 협의체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이하 건자회) 관계자들이 최근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2대 철근 제조업체와 가진 협상에서 가격인상분 반영 여부에 대해 합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주요 철강사들은 1t당 철근 가격(고장력 10㎜, 현금가 기준)을 지난해 말 69만1000원에서 올해 2월 74만1000원으로 5만원 올렸고 이달초 79만1000원으로 또다시 5만원 인상했다. 무려 두달새 10만원이 인상된 것이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고철의 국제 가격이 2월 1t당 360달러이던 것이 3월 450달러, 4월 현재 490달러 수준으로 급상승한 상황”이라며 “원자재 가격 급등의 고통을 두 업계가 함께 감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건설사들은 철강업체들의 일방적 인상가격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건설사들은 2월분에 대해서는 71만1000원, 3월분은 73만1000원, 4월분은 74만1000원 등의 가격을 제시한 상태다.


건자회 관계자는 “두번에 걸쳐 기습인상해 10만원을 부담하라는 것은 부당하다"며 "가뜩이나 건설경기 침체로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철강업체가 일방적으로 인상한 가격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A건설사 관계자는 “당장은 기존 비축분이나 수입산 등을 쓸 수 있지만 사태가 길어지면 철근 수급에 차질이 빚어져 공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B건설사 관계자는 "공급중단으로 4월 들어 대리점에서 융통해왔지만 이번주부터는 철강사에서 유통대리점까지 막아 애를 먹고 있다"고 밝혔다.


C건설사 관계자는 “가뜩이나 부동산 경기침체로 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유통대리점까지 거래를 막는 것은 상도덕이 어긋나는 짓”이라며 “자칫 업계간 감정싸움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양측의 가격차가 커 앞으로 협상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다만 거래 중단이 계속될 경우 공사 중단 등 피해가 급증할 우려가 있는 만큼 빠른 시일 내에 가격 합의에 이를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기존 비축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당장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어떤 식으로든 가격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정수 기자 kjs@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정수 기자 kjs@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