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외국인 유입으로 인구추계치 5년새 50만명 상회

[아시아경제 김진우 기자]국제결혼 등으로 외국인 유입이 급증해 최근 5년 사이 우리나라의 인구가 당초 추계치보다 50만명 이상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통계청이 2006년 발표한 추계인구는 2005년 4813만8000명에서 2009년 4874만7000명으로 60만9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실제로는 110만명 이상 증가한 493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이는 해외 유출인구와 국내 유입인구 간 차이인 국제이동 수가 급증한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2006년 추계인구를 작성하며 국제이동에 따라 인구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19만7000명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실제로는 10만명 늘어 인구가 29만7000명 증가했다.

게다가 아직 집계되지 않은 2009년 국제이동에서 10만명 정도 증가 요인이 있을 것으로 관측돼 국제이동에 따른 인구는 추계치보다 40만명 가량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밖에 인구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출생아 수 역시 합계출산율이 예상보다 높아 통계청 추계치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합계출산율이 2005년 1.08명에서 2010년 1.15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실제로는 2006년 1.12명, 2007년 1.25명, 2008년 1.19명, 2009년 1.15명이었다. 2005~2009년 출생아 수는 228만7000명으로 통계청 추계치(222만3000명)보다 6만4000명 더 많았다.


이 기간 사망률도 역시 낮아져 인구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통계청은 2005~2009년 130만명이 사망할 것으로 추계했으나, 실제로는 122만4000명이 사망해 인구를 7만6000명 더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결과 통계청의 2006년 추계와 비교했을 때 총 55만명 가량 인구가 더 늘어남에 따라 2019년으로 예상됐던 인구감소 시작 시기가 다소 늦춰질 것으로 관측된다.


통계청이 지난해 인구로 추계했던 수준(4930만명)은 2016년(4931만2000명)에나 달성 가능하다고 봤던 규모여서 이런 추세라면 통계청 추계치로는 최대인구가 2018년 4934만350명이지만 실제로는 2020년대 초중반에 5000만명을 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김진우 기자 bongo79@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