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경마저‥이젠 바다에서 누굴 믿나?

해경 늑장대응해 금양98호 침몰 피해 확산 의혹...금양 98호 연락처 착각해 구조작업 1시간 늦춰져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해군의 천안호 침몰 사건 늑장 대응에 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해양경찰이 금양98호 침몰 사건 과정에서 초기 대응을 잘못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인천해경은 지난 2일 오후 8시 30분 쯤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인천시 옹진군 대청도 서쪽 30마일(약56km) 해상에서 저인망어선 금양98호의 조난 신호를 접수했다.

하지만 인천해경은 즉시 구조에 나서지 않고 오후 8시31분쯤 엉뚱하게도 금양98호가 아니라 함께 항해 중이던 금양97호의 선장에게 휴대전화를 걸어 이상 유무를 확인했다.


당연히 "아무 이상 없다"는 선장의 대답을 들은 인천해경은 일단 사건을 종료했다.

뒤늦게 오후 8시 45분쯤에서야 한 해경 직원이 금양98호가 아닌 금양 97호에게 전화했다는 사실을 깨닫고 뒤늦게 금양 98호에게 연락했지만 이미 금양98호는 연락 두절 상태였다.


해경은 부랴 부랴 금양 98호의 위치를 확인하는 한편 조난신호 접수 1시간여 만인 오후 9시27분께 금양 97호 선장으로부터 "금양 98호가 보이지 않는다"라는 연락을 받고 금양 98호의 조난사실을 확인했다.


해경은 그제서야 구조 작업에 돌입해 오후 9시 30분께 인근 해역에 있던 경비함정들에게 출동 명령이 내려졌다. 오후 10시분쯤 가장 먼저 도착한 3008함을 비롯한 선박ㆍ헬기가 총 동원돼 수색에 나섰다.


결국 해경은 사고가 난지 1시간이 넘어서야 조난 사실을 깨달은 덕분에 구조작업도 1시간 반이 지난 후에야 시작됐다.


그러나 조난 사실 인지 및 구조 작업 돌입이 늦어져 이 시간 현재까지 숨진채로 발견된 선원 1명 외에는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인천해경이 즉시 구조에 나섰다면 현재처럼 선원 1명이 숨진 채 발견되고 나머지 8명이 전원 실종되는 등의 대형 피해는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해경 관계자는 "각 선박에 설치된 조난위치 자동발신장치가 종종 고장을 일으켜 신호가 잘못 수신되는 적이 많다"며 "통상 선장이나 선사에 전화를 걸어 선박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규정을 지켰을 뿐"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