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교보생명 광화문글판 20년 맞아

시의성 및 정감 어린 글귀로 삭막한 도심 '청량제'
20년 역사 자랑...광화문 사거리 명물로 자리잡아


[아시아경제 김양규 기자]광화문 사거리를 지나치다 보면 지나가는 사람들의 걸음을 멈추게 하는 게 있다.

바로 광화문 1번지에 위치한 교보생명 빌딩의 이른반 광화문 글판 때문이다.


광화문 글판이 정감 어린 글귀로 도심 속 삭막함 속에 지나가던 사람들에게 청량제 역할을 톡톡히 해낸 지 20년을 맞이했다.

교보생명은 1일 도시생활을 하며 늘 바쁘게 지나치는 사람들로 가득한 서울의 중심 광화문 사거리에서 시의성 있고 정감 어린 글귀로 시민들 마음 속 휴식처가 되어온 교보생명의 광화문 글판이 올해로 20살을 맞이했다고 밝혔다.


20년을 맞아 글판은 벌써 61번째로, "내가 반 웃고, 당신이 반 웃고, 아기 낳으면 마을을 환히 적시리라"라는 문안으로 채워져 있다.


이 문안은 장석남 시인의 '그리운 시냇가'의 일부다. 글귀의 뜻은 서로를 배려하며 조화로운 삶을 이어가는 시냇가 옛 마을의 모습을 재미있게 묘사한 것.


교보생명은 글귀를 통해 주변을 둘러싼 갈등을 불식시키고 화합과 상생의 마음으로 따스한 봄을 맞이하자는 의미를 전달했다고 한다.


광화문 글판은 1년에 4번, 계절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문안을 선보이며 많은 시민들에게 사랑 받아 오고 있다.


광화문 글판은 지난 1991년 1월 고 신용호 교보생명 창립자의 제안으로 광화문 사거리에 선을 보이기 시작했다.


첫 문안은 '우리 모두 함께 뭉쳐 경제활력 다시 찾자'로, 이 처럼 초기의 문안은 구호, 계몽적 성격의 직설적인 메시지가 주로 담긴 표어와 격언이었다.


그러나 지난 1997년 말 우리나라에 불어 닥친 IMF 외환위기로,고통과 절망을 겪는 이들이 많아지자 기업 홍보는 생각하지 말고, 시민들에게 위안을 주는 글판으로 운영하자"는 신용호 창립자의 제안으로, 광화문 글판에는 시심(詩心)이 녹아들기 시작했다.


이에 이듬해 봄 광화문 글판은 고은 시인의 '낯선 곳'에서 따온 '떠나라 낯선 곳으로 그대 하루하루의 낡은 반복으로부터'라는 문안이 걸리면서 시민들에게 위안과 정감어린 글귀들로 사랑과 관심을 받았고, 광화문 사거리의 명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후 광화문 글판은 시민들의 가슴에 남는 명작들로 채워졌다.


IMF 외환위기로 암울했던 지난 1998년 겨울. 광화문 글판에 오른 고은 시인의 '모여서 숲이 된다 나무 하나하나 죽이지 않고 숲이 된다 그 숲의 시절로 우리는 간다'는 전 국민의 희망가가 되었다.


바통을 이어받은 신창재 회장 역시 대표이사로 취임하던 지난 2005년 5월 고은 시인의 '길이 없으면 길을 만들며 간다 여기서부터 희망이다'로 교보생명의 각오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드러내 보이기도 했다.


광화문 글판 문안은 '광화문 글판 문안선정위원회'을 통해 선정된다. 선정위원들의 추천작과 교보생명 홈페이지에 올라온 시민들의 공모작을 놓고 여러 차례의 투표와 토론에 거쳐 최종작을 선정한다.


지금까지 광화문 글판을 가장 많이 장식한 작가는 고은 시인으로 7번. 이어 김용택 시인은 3편, 도종환ㆍ정호승ㆍ정현종 시인과 유종호 평론가는 각각 2편의 작품을 글판에 올렸다.


이외에도 공자, 헤르만 헤세, 알프레드 테니슨, 파블로 네루다, 서정주, 고은, 도종환, 김용택 등 동서고금의 현인과 시인 40여명의 작품이 광화문 글판으로 재탄생 했다.


이 같은 노력에 광화문 글판은 지난 2007년 12월 사람이 아닌데도 '세상을 밝게 만든 100인'에 이름을 올리는 한편 2008년 3월에는 한글문화연대가 주최하는 '우리말 사랑꾼'에 선정되기도 했다.


소설가 은희경 씨는 "광화문 글판은 어딜가나 볼 수 있는 흔한 명언, 명구와는 달리 다양한 문학작품을 통해 용기와 희망을 전하고, 사색에 잠기게도 만들며, 때로는 장난스럽기까지 한 점이 시민들로부터 사랑받는 이유인 것 같다"며, "앞으로도 지금처럼 시민들의 마음에 닿을 수 있는 문안들을 많이 소개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광화문 글판은 현재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외에도 강남 교보타워, 천안 계성원(교보생명 연수원), 대전ㆍ부산ㆍ광주ㆍ제주도 사옥 등 총 7개 지역에 내걸리고 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김양규 기자 kyk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