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전자공과대학교, 석박사 23명 등 졸업생 55명 배출

[아시아경제 황상욱 기자] 삼성전자공과대학교(총장, 반도체사업부 권오현 사장)가 22일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에서 졸업식을 갖고 박사 2명, 석사 21명을 비롯 학사 32명 등 총 55명의 졸업생들에게 학위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이 날 졸업식에는 서정돈 성균관대학교 총장, 권오현 사장, 지도교수, 졸업생 가족 등 500여명이 참석해 졸업생들을 축하했다.

삼성전자공과대학교는 지난 2002년 17명의 석사 졸업생을 첫 배출한 이후 박사 13명, 석사 195명, 학사 95명, 전문학사 130명 등 9년간 총 433명의 반도체, LCD 전문인력을 배출했다. 삼성전자공과대학교는 기업 내에 운영하는 교육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국가가 인정하는 정규 학사학위를 수여하는 사내대학으로 성균관대학교와의 연계를 통해 임직원들이 학사부터 박사학위까지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과정을 갖추고 있다. 사내대학에서 학습하는 기간에도 급여는 계속 지급되며 교육비용도 전액 회사가 모두 부담한다.


졸업식에서는 박세환 대리(반도체공학전공, 반도체사업부)와 허림 책임연구원(System & Software전공)이 각각 학부와 대학원 총장상을 수상했고, 학부과정의 김선재 사원(디스플레이공학전공)이 삼성전자공과대학교 최초로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또 학부생으로서는 통상 한편도 어려운 전공논문을 4편 작성하고 그중 1편은 SCI급 학술지에 등재시킨 조문철 사원(디스플레이공학전공)과 3년 6개월의 재학기간 중 무려 15편의 논문을 작성한 박사과정의 이정윤 책임연구원(공정개발 전공)이 논문상을 수상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박사과정 재학 중 학사과정 학생을 지도하는 전임교수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내가 가진 기술이 정체되고 있다는 개인적 차원의 불안감에서 시작했지만 부서 내 학술연수자들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분위기가 확산됐고 결국 소속부서의 연구개발실적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봤다"며 "사내대학이 개인의 성장과 회사의 경쟁력을 함께 높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졸업생 중 대학원과정의 허림 책임연구원(System & Software전공)은 졸업성적이 4.5만점에 4.5점을 기록했고, 김정열 책임연구원(Mixed Signal전공)은 통상 3.5년의 박사과정을 3년만에 조기졸업해 화제가 됐다.


권오현 삼성전자공과대학교 총장은 격려사에서 "졸업은 또 다른 시작인만큼 본래의 부서로 돌아가서 그 동안의 학습과정에서 익힌 도전과 창조의 정신을 널리 전파해 달라"고 당부했다. 서정돈 성균관대 총장은 축사에서 "당연한 것을 거부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가 필요하다" 며 "소프트파워를 키워 미래를 준비하자"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사내대학이 개교 10년을 맞아 그 동안의 인재에 대한 투자 결과가 본격적인 경쟁력 향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 앞으로도 최고의 기술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사업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나갈 계획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황상욱 기자 ooc@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