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무원 100명 중 6명, '시간제 근무' 희망"

여성부, 5개 기관 대상 '시간제 근무 공무원' 수요조사

[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여성부는 여성부 외 4개 기관을 대상으로 ‘시간제 근무 공무원’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기관의 공무원 100명 중 6명이 시간제 근무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공공부문 ‘시간제 근무 공무원’ 제도 활성화를 위해 여성부와 통계청, 경기도, 그리고 익산시와 여수시 등 5개 기관을 대상으로 지난달 15일부터 29일까지 15일간에 걸쳐 실시됐다.

여성부는 우선 현행제도를 기준으로 ‘시간제 근무 공무원’에 대한 수요조사를 결과, 총 499명(현원대비 5.9%, 응답자대비 19.4%)이 제도 활용을 희망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특히 남성이 300명으로 여성보다 높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제도 개선을 전제로 한 수요조사 결과에선 714명(현원대비 8.4%, 응답자 대비 27.8%)이 제도 활용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희망자의 직급별 분포는 6급(12.1%), 7급 이하(10.9%), 5급(7.2%) 등의 순이었으며, 직무유형별로는 제증명 발급 등 민원·서비스가 30.1%, 정책·사업 29.6%, 기획·관리 16.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제 근무시 희망하는 주당 근무시간은 31~35시간(37.4%), 26~30시간(32.4%) 등 현 근무시간(40시간)보다 5~15시간 정도 줄여서 일하고 하는 사람이 많았고, 희망하는 근무기간은 7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제도를 활용코자 하는 경우가 대부분(77.6%)을 차지했다.


아울러 시간제 근무 활용 희망 시기는 2010년이 32.9%, 2011년37.1%, 2012년 이후 30.0%로, 희망자의 70%는 올해와 내년 중 제도를 활용할 수 있길 원했다.


한편 시간제 근무 제도 활용의 장애요인으론 ‘시간제 근무로 인한 타 직원 업무부담 증가 우려’(24.4%), ‘근무시간에 비례한 보수인정’(20.2%), ‘승진, 근무평정 등에 있어서의 불이익 우려’(17.3%), ‘초과근무 가능성’ (14.6%), ‘근무시간에 비례한 경력인정’(10.6%) 등이 꼽혔다.


여성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제도 활용의 장애요인으로 지적된 부분에 대해선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개선을 추진하고, 앞으로 여성부와 익산시, 여수시 등 여성친화도시를 중심으로 시간 근무제를 시범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