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호家 행보에 관심 "최악 상황 막을까?"

[아시아경제 손현진 기자]금호아시아나그룹 사주들이 채권단이 요구한 사재출연 시한을 지키지 못함에 따라 최악의 경우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가 법정관리에 들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8일 채권단의 긴급회의를 앞두고 금호 오너 일가의 행보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사태가 악화된 가장 큰 원인은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명예회장과 박찬구 전(前) 금호석유화학 회장 등 사주 일가가 끝내 의견을 조율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박 명예회장과 박 전 회장은 내부적으로 전혀 소통하지 못해 급기야 채권단의 최종 시한마저 지키지 못하게 된 것이다.

박 명예회장을 제외한 박 전 회장과 아들 박준경, 고(故)박정구 명예회장의 장남인 박철완 그룹 전략경영본부 부장 등 대주주일가가 사재 출연 동의서 제출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박 회장은 법무법인 산지를 통해 산은과 사재출연 범위와 경영 복귀 방안을 두고 논의 중이라고 밝혔으나 산은에서 이를 부인했다. 박 전 회장이 보유 주식을 채권단에 넘기는 것은 당연한 절차에 따른 것이지 채권단에서 요구한 사재출연으로 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설명이다. 산은이 채권단회의에서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경우 박 전 회장의 보유 주식이 채권단에게 넘어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채권단에서는 박 전 회장의 경영권 박탈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는 만큼 박 전 회장이 한 발 물러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미 박 명예회장과 갈등의 골이 깊어질 대로 깊어졌지만 최악의 상황만은 막아보자는 데서 의견 일치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민유성 산업은행장이 법무법인을 통해 밝힌 박 전 회장의 '사재 출연과 경영 복귀 선언'에 대해 "실망스럽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이 박 전 회장을 적잖이 압박했을 것으로 보여 진다. 하지만 박 명예회장과 박 전 회장이 끝내 의견차를 봉합하지 못하고 그룹을 최악의 상황으로 몰아넣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산은 등 금호아시아나그룹 채권단은 사주 일가가 사재 출연 계획을 제출키로 한 시한을 넘김에 따라 8일 긴급회의를 갖고 향후 대책에 대해 논의키로 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손현진 기자 everwhit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