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북정상회담 상반기 가능할까?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잇따라 회담 가능성과 원칙을 언급한 것은 물론 정치권을 중심으로 회담 개최 시기에 대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남북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5월말이나 6월초에 열릴 가능성을 제기했다. 북한이 4월 김일성 생일을 지내야 하고, 우리도 6월 지방선거를 생각하면 5월초가 가장 적절하다는 것이다.

다른 일각에서는 오는 11월 G20 정상회의가 있어 최소한 9월 이전이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6월25일, 8월15일 등을 개최시기로 꼽는다. 하지만, 정부 당국은 이같은 전망이 섣부른 추정에 의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이 대통령은 2일 "정상회담을 위한 대가는 있을 수 없다는 대 전제하에 남북 정상이 만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남북정상회담은 확고한 원칙 아래 추진할 수 있는 것"이라며 "그 원칙이 충족되지 않으면 성사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29일 BBC 인터뷰에서는 "연내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날 수 있을 것 같다"며 "만나는 데 대한 조건이 없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를 계기로 정치권을 중심으로 정상회담을 위한 진척상황과 회담시기에 대한 전망이 줄을 잇고 있다.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은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정상회담은 상당부분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막판 조율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남 의원은 "지방선거를 기점으로 시기논란이 있지만 지방선거 이후 8.15에 맞춰 개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며 "시기 등은 양보해도 북핵 해결을 위한 의제는 포함돼야 한다"고 했다.


한나라당 홍정욱 의원은 "상반기 개최를 전제로 한다면 아무래도 1월에서 4월까지는 김정일, 김일성의 생일이 연달아 있고 우리 정부로서는 6월 지방선거가 있기 때문에 4월말이나 5월중이 적합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많은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홍 의원은 "미국이나 중국측 인사들의 전언에 따르면 이미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은 북미관계 개선을 위한 전제의 하나로 남한과의 정상회담을 갖겠다고 결단을 내렸다고 한다"며 "(지방선거 이전 회담개최에 대해) 지엽적인 문제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와 정부는 이같은 전망에 대해 앞서나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그동안 정상회담의 뒷거래나 이면계약을 본 적이 있지 않느냐"며 "그런 정상회담은 하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상회담 추진 진척상황 등에 대해서는 "밝힐 만한 것이 없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연내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우리의 희망사항을 얘기한 것이고 정상회담이 반드시 연내에 일어난다, 안 일어난다고 얘기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현 장관은 "여러가지 정세로 봐서 2010년이 남북간 중요한 해이기 때문에 이런 해에 남북간 정상회담 같은 것을 통해 한반도 안정과 평화를 논의하면 좋지 않겠느냐는 의미로 받아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