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제약업계 '리베이트 내부고발'에 골머리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병의원 리베이트와 관련된 내부고발이 이어지면서 제약업체들이 골치를 썩고 있다.


1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식약청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은 최근 중견제약사 Y사를 찾아 리베이트 혐의를 찾기 위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조사단은 회사 측으로부터 판매장부 등을 확보해 조사하고 있다. 이번 압수수색은 내부 관계자가 보건복지가족부에 리베이트 관련 제보를 하면서 이루어졌다.


앞서 10월에도 유명 제약사 8곳이 의사들에게 리베이트를 주고 있다는 제보가 한국제약협회로 접수됐다. 제약협회가 조사에 나서 그 결과를 복지부에 이첩했으며, 일부 제약사는 리베이트 사실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올 해 들어서만 10여 곳이 넘는 제약업체가 내부고발로 경찰조사를 받거나 언론에 보도되는 등 곤욕을 치룬 바 있다.


이 같은 일이 빈번하고 있는 것은 올 8월부터 시행된 새 약가제도 영향이 크다. 정부는 리베이트 사례가 적발될 경우, 해당 제품의 보험약값을 인하하는 '리베이트 약가인하 연동제'를 시행하고 있다.


당초에는 리베이트를 주다 걸려도 벌금이나 판매 정지 등에 머물렀다. 하지만 제약사의 핵심 재산인 '약값'에 영구적 손상을 주는 새 제도에 제약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약가인하만은 막아야 한다는 약점을 이용해, 회사에 불만을 가진 직원이나 퇴직자들이 제보를 하는 사례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새 제도 시행 후 대형제약사들 상당수는 '의사 초빙 설명회' 등을 통해 합법적 '거마비'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영업행태를 바꾸고 있다. 하지만 보유 제품이 '복제약'으로 딱히 학술모임을 열 명분이 없는 소형 제약사의 경우, 약가인하를 무릅쓰고 리베이트를 전달하는 사례가 여전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