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리먼·베어스턴스 회사 망해도 CEO는 '건재'

[아시아경제 공수민 기자] 미국발 금융위기의 주범으로 불리는 대형 투자은행 리먼 브라더스와 베어스턴스의 고위 경영진들이 과도하게 책정된 보수 덕에 막대한 부를 쌓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하버드 대 로스쿨이 ‘실패한 보수제도’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리먼 브라더스와 베어스턴스의 10명의 고위 경영진들은 지난 2000년~2008년 사이 약 25억 달러를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리먼 브라더스의 고위 경영진 5명은 지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8년 동안 현금 보너스와 보유주식 매각을 통해 10억3000만달러를 얻은 것으로 집계됐다. 베어스턴스의 고위 경영진 5명도 지난 2000년부터 지난해 JP모건 체이스가 은행을 인수하기로 합의하기 전까지 14억6000만달러를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리먼 고위 경영진 5명은 이 기간 동안 총 1억7300만달러의 현금보너스를 받았고, 8억6000만달러의 주식매각 수입을 얻었다. 베어스턴스의 5명 고위 경영진은 같은 기간 3억2700만달러 현금보너스와 11억600만 달러의 주식 매각으로 차익을 얻었다.

경영진들을 살찌우는 보수제도 때문에 회사는 망했어도 경영진들은 부를 쌓을 수 있었던 것이다. 즉 성과와 상관없이 과도하게 책정된 경영진 보수가 은행 붕괴를 이끌었다는 평가다.


보고서는 베어스턴스와 리먼 사태는 경영진 보수가 성과에 적절히 책정되지 않았을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나는 지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와 다른 감독기관이 경영진 보수제도를 간과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금융위기를 겪은 후 연준은 뒤늦게 은행들의 고액 보너스 관행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수 지급으로 인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대형 은행들의 재정 상태가 악화될 경우 보수 지금을 미루는 등의 방법을 권고했다. 또한 경영진이 오랜 기간 주식을 보유하도록 조건을 내건 다면 주식으로 보수를 지급하는 것도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루시안 베브척 하버드 로스쿨 교수와 케네스 파인버그 미 재무부 특별보좌관이 참여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이들은 지난해 회사가 파산했을 때보다 앞선 8년동안 훨씬 많은 주식을 팔아 높은 이익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리먼브라더스의 전 최고경영자(CEO)인 리처드 펄드와 나머지 8명의 경영진들은 최종 보유주식보다 8년 동안 매각한 주식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베어스턴스의 고위 경영진들은 2000~2007년 동안 최종 보유한 주식의 4배를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제임스 케인 전 베어스턴스 CEO는 베어스턴스가 JP모건에 넘어간 2008년 초, 8년간 매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사가 망하면서 주식에서 큰 손실을 냈음에도 불구하고 리먼브라더스의 펄드 전 CEO는 8년 동안 5억4100만달러를 챙긴 것으로 집계됐다. 케인 전 베어스턴스 CEO는 3억8800만달러를 챙겨 회사를 나갔다. 회사의 붕괴로 주가가 급락하면서 케인 전 CEO의 베어스턴스 보유 지분 손실은 9억달러 이상에 달했고, 펄드 전 CEO의 리먼 주식 보유분 손실은 9억3000만달러에 달했던 것을 감안한다면 8년 동안 어마어마한 액수의 보수를 챙긴 것이다.

공수민 기자 hyun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