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소비자물가 3개월 연속 2%대 '안정' (종합)

전월비론 4개월 만에 '마이너스'.. 통계청 "농산물·석유류 하락 영향"

[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소비자물가가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지난 해 10월에 비해 2.0% 상승했다.

전년 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해 7월 5.9%로 정점을 찍은 뒤, 8월 5.6%, 9월 5.1%, 10월 4.8%, 11월 4.5%, 12월 4.1%, 올 1월 3.7%로 계속 하락하다 2월 4.1%로 소폭 상승했으며, 3월 3.9%, 4월 3.6%, 5월 2.7%, 6월 2.0%, 7월 1.6%, 8월 2.2%, 9월 2.2% 등을 기록했다.



또 전월비로는 농산물 및 석유류 가격 하락 등에 힘입어 0.3% 감소, 4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전월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0.3%, 12월 0.0%, 올 1월 0.1%, 2월 0.7%, 3월 0.7%, 4월 0.3%, 5월 0.0%, 6월 -0.1%, 7월 0.4%, 8월 0.4%, 9월 0.1%였다.


부문별 소비자물가는 식료품·비주류음료의 경우 쇠고기(국산), 포도 등은 올랐으나 배추, 돼지고기, 시금치 등이 내려 전월에 비해 0.6% 하락했다.


교통 부문도 휘발유, 경유 등이 내려 1.4% 내렸으며, 주거 및 수도.광열 부문, 가구집기·가사용품 부문, 교양·오락 부문은 각각 0.1%씩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류·담배, 보건의료, 통신, 교육 부문은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고, 의복·신발, 외식·숙박, 기타잡비 부문은 0.1%씩 상승했다.


전년 동월대비론 식료품·비주류음료 부문이 4.7%, 의복·신발 부문이 5.7%, 기타 잡비 부문이 5.4% 각각 올랐고, 교통 부문은 3.4% 하락했다.


품목성질별지수를 보면, 상품이 전월보다는 0.6% 내렸지만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2.0%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농산물과 축산물이 전월에 비해선 1.1% 내린 반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선 5.5% 상승했다.


공업제품은 석유류 하락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0.5% 내렸고, 전년 동월 대비론 석유류는 하락했으나 가공식품과 내구재 등이 올라 1.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비스는 전월대비 0.1%, 전년 동월대비 2.0% 각각 올랐고, 그중 집세는 전월대비 0.1%, 전년 동월대비론 1.1%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0.1%, 전년 동월대비 2.3% 각각 올랐고,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는 가운데, 전년 동월대비로 2.0% 상승했다.


양동희 통계청 물가통계과장은 “전월비론 서비스 가격이 올랐지만 공업제품과 농축수산물은 전반적으로 내려갔다”면서 “그래서 전월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가 나온 것이다. 아울러 예년 추세를 볼 때도10월의 전월비 소비자물가는 대체로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양 과장은 “그러나 전년 동월비론 서비스와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등의 상승세가 계속됐다”고 부연했다.


10월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4% 떨어진 가운데,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1.5% 상승했고, 전년 동기비로도 1.9% 올랐다.


생선류, 채소류, 과실류 등을 대상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2.0% 하락한 가운데, 전년 동월대비 6.9%, 전년 동기대비 8.0% 각각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신선어개(어류·조개)는 전월대비 1.2%, 전년 동월대비 13.2% 각각 올랐고,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6.8% 하락한 가운데, 전년 동월대비 7.5% 상승했다.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0.5%, 전년 동월대비 1.9% 각각 상승했고, 기타신선식품은 전월비 2.1% 하락한 가운데, 전년동월비론 6.1% 올랐다.


양 과장은 “신선어개의 전년 동월대비 물가 상승률이 높은 것은 지난해에 비해 갈치, 명태, 오징어 등의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갈치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로 26.8%의 상승률을 보인 것을 집계됐다.


또 신선채소와 신선과실에 대해선 지난해 지수가 95.7, 90.4 등으로 낮은데 따른 ‘기저효과’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 동월대비 2.6%, 전년 동기대비 3.8% 각각 올랐다.


결국 “농산물과 석유류의 가격 하락이 전반적인 물가 안정에 영향을 줬다”는 게 양 과장의 설명이다.


다만 양 과장은 ‘10월에 국제유가가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석유류 가격이 떨어진 게 환율 효과 때문이냐’는 물음엔 “환율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가격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는 분석 대상이 아니어서 답변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편 시·도별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16개 시·도 모두가 전월보다 0.2~0.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31개 도시별로도 모두 0.1~0.4% 하락했다.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