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계 3위 佛선사 '부도위기'...11월까지 지켜봐야 <동양證>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동양종금증권은 1일 세계 3위 규모 컨테이너 선사인 프랑스 CMA CGM의 파산 가능성에 대해 "다음달 중순까지 사태 추이를 지켜봐야 겠지만 조선주 주가 흐름은 당분간 약세를 이어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CMA-CGM이 지난달 29일 자사 홈페이지에서 "유동성 문제 해결을 위해 프랑스, 유럽, 한국 등의 은행들로 이뤄진 위원회를 구성하는데 합의했다"며 "신조선 재계약 협상, 일부 선박의 발주취소 작업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합의 도출 목표 시한은 다음달 중순이다.

CMA CGM은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진중공업 등 국내 조선사에 대량으로 선박을 발주한 상태로, 파산시 국내 조선업계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동양종금증권에 따르면 국내 조선소의 수주잔고에 있는 물량은 총 43척(현대중공업 9척, 대우조선해양 8척, 삼성중공업 5척, 현대미포조선 6척, 한진중공업 3척, 한진중공업-수빅 12척)이다. 이중 내년 이후에 인도될 예정으로 아직 공사에 착공하지 않았거나 공정이 많이 진행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은 현대중공업 4척, 대우조선해양 5척, 삼성중공업 4척, 현대미포조선 6척, 한진중공업-수빅 12척 등 총 31척이다.

이재원 애널리스트는 "만약 신조선 발주에 대해 대규모 계약불이행 사태가 발생한다면 미착공 선박이 우선적인 대상이 될 수 있다"며 "그러나 비슷한 처지에 있었던 CSAV(독일), HAPAG-LLOYD(독일), ZIM(이스라엘) 등 처럼 이해 관계자들과 원만한 합의를 통해 유동성 지원을 받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앞선 사례의 경우 대출 만기 연장, 용선료 인하, 신조선 납기연장 등의 합의를 하고 주주들로부터는 자금지원을 받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았다"며 "CMA-CGM이 구성한 위원회의 결론 역시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가능성 높다"고 판단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이에 따라 "이같이 결론날 경우 조선소들 입장에서는 대규모 수주취소보다는 납기를 일부 연장해주는 수준에서 마무리될 수 있다"며 "CMA-CGM과 채권단이 결론을 내리기로 한 11월 중순까지 사태 추이를 지켜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당분간 조선주의 약세 흐름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