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민은행만 팍팍? 주택담보대출 나홀로 감소

DTI규제에도 타은행권 주담대출 전월비 증가..증가액은 주춤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이달 초 금융감독당국의 총부채상환비율(DTI)규제 이후 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1조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타 은행들은 금융감독당국의 잇따른 주택담보대출 규제책에도 불구하고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했다.

30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25일 현재 주택담보대출은 72조3610억원으로 전월 73조6796억원에 비해 무려 1조3366억원이 감소했다.


국민은행은 지난 7월과 8월 각각 전월 대비 718억원, 3210억원씩 증가했었다.

금융감독당국은 지난 7월초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은행권 대출에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규제를 취한 데 이어 이달에는 같은 지역에서 강력한 DTI 제한을 가해 7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LTV는 담보가치 대비 최대 대출금액 한도이고, DTI란 소득수준에 따른 대출금액 규제를 말한다.


반면 우리, 신한, 하나, 외환은행 등은 오히려 늘었다. 하지만 증가액은 주춤했다. 우리은행은 25일 현재 38조6100억원으로 전월에 비해 482억원 증가했다. 단, 전월 순증액이 1734억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증가액은 줄었다.


신한은행도 같은 기간 38조7747억원으로 전월 38조5821억원 대비 1926억원 늘었다. 신한은행은 전월에는 7462억원 늘었었다.


하나은행도 25일 현재 26조3724억원으로 지난 달 보다 3258억원 늘어 전월 순증액 1953억원에 비해 두배가까이 증가했다.


이처럼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금융당국의 규제에도 불구 대형은행들의 감소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융당국은 DTI 규제 확대 이후 주택담보대출이 비은행권으로 쏠리는 것에 대비하기 위한 추가 규제를 준비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은 지난 17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소득에 따라 대출액을 제한하는 DTI 규제가 7일부터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됐지만 집값 상승을 막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통화정책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DTI 규제 등 미시적인 정책으로도 집값 상승을 잡을 수 없다면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