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신문 이경호 기자] 미디어법 개정에 따라 종합편성채널 2개, 보도전문채널 1개가 구축되면 방송장비부문에 3500억원의 시장창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는 저조한 방송장비의 국산화 비율을 높이기 위해 방송장비산업의 고도화와 수출지원 등의 종합적인 발전기반을 조성키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21일 서울 역삼동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에서 KBS등 방송사와 방송장비 산.학.연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방송장비산업센터' 현판식을 갖고 '미래 방송장비산업 고도화 포럼을 개최했다.
방송장비산업센터는 지경부와 방통위가 공동지원으로 KEA에서 총괄하며 산학연전문가들이 운영위원회를 구성한다. 센터는 한국형 방송장비 시스템의 수출지원을 위해 동남아, 중남미 등 전략지역에 민관합동 '시장개척단' 파견 및 교역상담회를 추진키로 했다.내달 한국전자전에서 홍보를 펼치는 한편, 대규모 공연장, 학교ㆍ군부대ㆍ교회 등 非방송사에도 수요자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방송시스템 개발을 개발한다. 방송장비 산업정보 연감발간, 장비산업 통합포털사이트도 구축한다.
이어 열린 포럼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광희 부장은 "미디어법 개정에 따른 방송장비 내수시장은 종합편성채널 2개 구축시 3000억원, 보도채널 1개 구축시 500억원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부장은 "그러나 현재 상대적으로 낮은 국산장비 채택율(15%)을 감안하면, 향후 5년간 국산 장비의 시장점유는 3500억 중 최대 5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고 전망했다.
이 부장은 "국산 방송장비 수요확대를 위해서는 수요자와 구매자가 공동으로 장비를 개발하고 구매로 이어지는 "수요자 연계형 R&D"를 확대ㆍ지속 추진해야 한다"며 "신규방송사업자 선정이나 재허가시 심사기준을 개정하여 장비국산화율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용범 V3I대표는 "3D 방송의 핵심기술인 3D 카메라의 경우 소니, 이케가미 등 일본과 RealD 등 미국 일부 업체만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술의 성숙도가 낮고 국내 보유기술과의 격차가 크지 않다"며 "정부의 R&D지원과 병행하여 국산장비에 대한 판로확보를 지원하는 제도적인 뒷받침을 통해 우리나라가 3D방송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임채민 지경부 1차관은 "2D방송장비 분야에서는 비록 뒤졌지만, 3D방송장비만큼은 3D 방송용 카메라 기술개발 등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세계시장을 리드하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임 차관은 "미디어법 개정으로 방송산업에 빅뱅이 도래해 방송장비 수요도 급격한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며 "방송장비 고도화를 차질 없이 추진해 디지털방송강국을 조기에 실현토록 최대한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