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창기 경인선, 경부선 객차는 나무로 만들어
기차요금 자장면 10~30그릇 값에 이를 만큼 비싸
18일은 우리나라 철도역사 110년 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 철도의 모습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철도의 날’을 맞아 철도의 발자취와 현주소를 살펴보면 재미있는 게 많다.
열차는 우리나라 철도효시로 민족과 애환을 같이 했던 증기기관차에서 디젤기관차→전기기관차→KTX로 진화했다. 석탄을 태워 에너지를 얻었으나 석유, 전기 등으로 기차를 움직이는 연료가 바뀌었다.
최초 열차 개통구간은 경인선으로 노량진∼제물포역 사이 33.2km다. 1899년 9월18일 우리나라 최초 열차인 ‘칙칙폭폭’ ‘모갈 1호’가 시속 20∼30km로 운행됐다.
$pos="L";$title="";$txt="승차권 ";$size="240,138,0";$no="2009091714361224549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첫 승차권은 한문 또는 일본어로 적힌 에드몬슨식 승차권이다. 일명 ‘딱지승차권’이다. 우리나라 철도개통부터 해방 전까지 쓰였다.
초창기 경인선, 경부선 등에 운행된 객차는 나무로 만든 것이다. 이 때 최고급 객차는 고종황제의 어용(御用) 객차. 일본 평강공장에서 최고급자재로 그때 돈 1만5000원을 들여 만들어졌다. 1936년까지 귀빈차로 쓰이다 폐차됐다. 1915년부터는 객차가 쇠 제품으로 설계되기 시작했다.
$pos="R";$title="";$txt="관광급행권";$size="259,144,0";$no="2009091714361224549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110년 전 경인선 개통 때 열차요금은 마일(1.6km)당으로 계산했다. 3등석은 1전5리, 2등석은 3등석 요금의 두 배, 1등석은 3등석 요금의 세 배였다.
'
노량진∼제물포 운행구간이 약 20마일(33.2km)인 점을 감안하면 △1등석은 90전 △2등석 60전 △3등석 30전이었다. 그 무렵 자장면 값이 3전이었던 것으로 볼 때 등급에 따라 10~30배에 이를 만큼 비쌌다. 서민들은 감히 탈 엄두도 내지 못할 정도였다.
국내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역은 태백선의 추전역. 해발 855m다. 바다와 가장 가까운 역은 영동선 정동진역. 이 역은 서울을 기준으로 위도상 같은 곳에 있다. 바다와 가장 가까운 노선은 동해남부선(부산∼포항). 최북단 역은 철원 신탄리역, 최남단 역은 여수역, 최서단 역은 목포역, 최동단 역은 포항역이다.
$pos="L";$title="";$txt="지난 1920년에 지어진 신촌역사";$size="219,164,0";$no="2009091714361224549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가장 오래된 역 건물은 전라선의 춘포역으로 1914년에 지어졌다. 이어 동해남부선의 불국사역(1918년), 서울 신촌역(1920년)이 뒤를 잇고 있다.
길이가 가장 긴 철도터널은 경부고속선 황학터널로 9971m다. 기존 선에선 전라선의 슬치터널로 6128m에 이른다. 다리 길이가 가장 긴 곳은 경부고속선의 풍세교로 6845m. 기존선은 안산선의 반월고가교로 3718m다.
수송량이 최고로 많은 역은 단연 서울역이다. 하루 평균 타고 내리는 사람이 8만명에 이른다. 수입이 가장 많은 곳도 서울역이다. 하루 평균 10억원을 벌어들인다.
최고속도를 내는 기차는 KTX. 시속 330km로 달린다. 2004년 11월 시행운행 땐 352.4km까지 달린 적도 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