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쌍용차 부활의 길 "갈수록 꼬이네"

쌍용자동차의 부활 시나리오가 갈수록 오리무중이다.


기업회생 계획안을 오는 15일 법원에 제출할 예정인 가운데 경영진은 전략적투자자(SI)를 잡기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정부에서 재무적투자자(FI)로의 인수 가능성을 언급한데 이어 이 회사 주주의 차등감자 가능성까지 언급되면서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최상진 쌍용차 재무기획담당 상무는 14일 "FI는 회사의 중장기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상하이차, 개인주주 지분에 대한 차등 감자 부분에 대해서도 확정된 바가 없다"고 못박았다.


이날 시장에서는 쌍용차 지분 51%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 상하이차의 지분을 감자(자본금 감액)를 통해 10~15%로 낮추고, 소액주주 지분에 대해서도 최대 60% 감자를 추진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오전 주가가 하한가근처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쌍용차는 법원 회생 계획안 인가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적절한 인수기업 찾기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이 회사 노조가 민주노총 탈퇴를 찬반투표를 통해 가결하면서 국내외 업체들이 법원 인가를 전제로 인수에 나서겠다는 의사를 전달해 온 것으로 알려져 경영진의 근심을 덜어주고 있다.


그러나 정부에서는 중국 등 완성차 제조 기술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해외 업체로의 피인수가 '제2의 상하이차 사태'를 내재하는 만큼 제대로 된 업체가 아닐바엔 FI에 넘기는 것이 낫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산업은행 고위관계자는 "FI에서 신차 C200 개발비용까지 부담하는 조건이라면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며 "어떤식으로 투자자가 결정되든 지금으로선 쌍용차가 신차 개발에 주력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지법은 쌍용차의 회생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은 지 실사를 실시한 이후 오는 11월 6일 관계인 집회에서의 투표를 통해 이 회사의 운명을 결정할 예정이다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