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정부 "올해 국고채 발행규모 85조로 확대" (상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10년 이상 장기물 비중 늘리고 단기채·FRN 발행 않기로

기획재정부는 올해 국고채 발행규모를 당초 81조6000억원 규모에서 85조6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최규연 재정부 국고국장은 “올 8월까지 당초 계획보다 많은 물량의 국고채를 발행해 향후 물량 부담이 크게 완화됐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지난 1~8월 중 당초 계획 52조3000억원보다 6조원 많은 58조3000억원의 국고채가 발행되면서 앞으로 월평균 발행물량을 줄일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는 게 최 국장의 설명.


단, 최 국장은 “자금조달을 위한 국고채 발행규모는 당초 수준(연간 77조6000억원)을 유지하되, 발행을 유보했던 7조5000억원의 시장안정용 국고채 중 4조원을 발행해 각각 2조원씩 만기분산(바이백)과 유동성 제고(국고채 교환) 등 시장 안정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고채 발행물량 증가에 따라 9~12월 평균 발행량은 7조원 수준이 유지될 전망이다.


단, "9~12월 평균 경쟁입찰 발행량은 5조8000억원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최 국장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재정부는 최근 시중 자금의 단기부동화 현상이 완화되고 있고 국고채 장기채 수요가 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해 향후 발행물량에서 10년 이상 장기물의 비중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당초 10~25%였던 올해 국고채 10년 만기물의 발행 비중이 9월 이후부턴 20~30%로 조정되고, 20년물 비중도 당초 5~10%에서 5~15%로 늘어난다.


그러나 1년 이하 단기 국고채와 변동금리부국고채(FRN) 발행에 대해선 “장기제도과제로 검토하겠다”고 밝혀 현재로선 발행 계획이 없음을 시사했다.


최 국장은 "'장기제도과제로 검토하겠다'는 것은 시장 상황에 큰 변동이 없는 한 발행하지 않겠다는 의미다"고 부연했다.



최 국장은 이번 국고채 발행계획 변경 등과 관련, “국고채가 원활하게 소화되는 가운데 만기 분산 및 유동성 제고 등을 통한 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전망”이라며 “특히 장기물 발행이 늘면서 만기 분산에 따른 재정자금의 안정적 조달 및 장기채 시장의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