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로호 연기에 우주개발계획 차질 빚나

현장 과학자들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 등 일정 무더기 지연 우려”
교과부, 항우연 “각기 다른 사업단 체계로 추진 중…직접 연관 없어”


우리나라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의 발사지연이 앞으로 예정된 우주개발계획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10일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올해 나로호 발사를 시작으로 오는 11월 통신해양기상위성, 2010년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5호 및 과학기술위성 3호에 대한 발사 계획을 갖고 있다.


이어 2011년엔 다목적실용위성 3호, 2012년 다목적실용위성 3A호, 2015년 다목적실용위성 6호 등 각종 우주개발사업도 계획됐다.

그러나 나로호 발사 일정이 6차례나 미뤄지면서 앞으로 줄줄이 계획된 이들 위성개발계획에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런 목소리는 특히 현장 연구자들 사이에서 높다. 각 우주개발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항우연의 모든 주체가 나로호의 연이은 발사 연기에 극히 민감해져 있는 터라 현장의 이런 걱정은 더욱 두드러진다.


항우연의 한 관계자는 “나로호 발사 일정이 여러 번 미뤄지면서 우리 연구원 모두의 온 신경이 나로호 성공발사에 쏠려 있다”며 “솔직히 통해기 등 앞으로 추진할 예정이었던 우주개발 계획을 순조롭게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반면 교육과학기술부나 항우연은 “기본적으로 나로호 발사와 다른 사업 간의 관계는 없다”는 입장이다.


나로호, 통해기, 아리랑 5호 등 위성개발사업은 각 사업단 체제로 나눠져 추진되고 있어 서로 다른 계획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교과부 우주개발과 관계자는 “항우연 내 꾸려진 별개의 사업단에서 각각의 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나로호 발사 지연에 따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며 “통해기는 프랑스 발사체에, 아리랑 5호는 러시아발사체에 실려 올라갈 계획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