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융권 노사 '버텨서 동결 vs 협상해서 깍자'

금융권의 산별교섭이 2000년 이 후 처음으로 결렬될 위기에 처했다.


올해 금융권의 임금협상의 핵심이 '인상'이 아닌 '삭감 또는 반납'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노조측은 교섭 결렬 후 임금을 자동적으로 동결하는 수순을 염두에 두고 있는 반면 사측은 협상을 통해 기존직원까지도 임금 반납을 유도해 내겠다는 포석을 깔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은행연합회와 금융계에 따르면 한국노총 산하 금융산업노조와 사용자 대표인 은행연합회는 지난 28일 제 5차 중앙노사위원회를 열어 올해 임금협상을 진행했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채 협상을 마쳤다.


사측은 신입 직원의 임금 삭감, 기존 직원의 임금 5% 반납 등을 요구했지만 노조 측은 이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노조측은 경기가 개선되는 상황에서 기존 직원까지 임금을 반납하라는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지만 사측은 하반기 경제 불확실성과 금융권의 고임금에 따른 비난 여론 등을 고려한 임금반납을 재차 요구, 평행선을 달렸다고 연합회측은 전했다.


사측은 다음달 20일 중앙노사위가 다시 열릴 예정이지만 여기서도 합의점이 도출되지 않을 경우 산별 협상을 중단하고 회사별 협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하지만 노조의 입장은 느긋하기만 하다.


임금협상이 결렬되면 올해 금융권 임금은 자동 동결되는 만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전혀 급할 것이 없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회사별 협상도 중앙노사위와 마찬가지로 노조가 적극적인 협상에 나설 이유가 별로 없다"며 "당분간 노사간 대타협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전망했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