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T·SKB·LG데이콤 등 행정기관 VoIP 사업자로 선정

행정안전부는 행정기관 인터넷전화(VoIP)서비스 제공사업자로 KT, SK브로드밴드, LG데이콤, 삼성네트웍스 등 4개사를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행안부는 지난 3월에 업무용회선(KT, LG데이콤, SK네트웍스)과 인터넷회선(KT, SK브로드밴드)사업자를 각각 선정한바 있다.

행안부는 이번 사업자 선정으로 정부의 중점 추진 정책인 '국민의 통신비 20% 감소'를 위한 인터넷전화 확산 방침에 부응한다는 계획이다. 행안부는 이미 구축한 전국단일행정전화망의 내구연수가 내년에 도래함에 따라 인터넷전화로의 체계적인 전환을 위해 행정기관 인터넷전화서비스 사업자 선정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행정기관의 신규 부가서비스 도입 촉진은 물론, 사업자간 경쟁을 유도해 기존 인터넷전화 요금보다 약 22% 저렴한 이용요금으로 제안을 받아 연간 260억원 이상의 예산절감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이는 행정기관 연간 전화 이용 요금 예산인 1182억원의 20%에도 못미치는 금액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행정기관 인터넷전화서비스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투자 확대를 통해 신규 일자리창출은 물론,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유도할 수 있다"며"이는 2013년 2조원 이상으로 전망되는 국내 인터넷전화 시장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인터넷전화 서비스 사업자는 엄격한 보안 요건을 갖추도록해 최근에 문제된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 등으로부터 안전한 인터넷전화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인터넷전화 사업자들은 인터넷전화 전용 외부 침입방지(IPS) 시스템과 국가기관 전용 인프라를 구축, 민간 트래픽과 분리하고 세계최초로 전 구간 암호화를 적용한다.


또한 인터넷전화 전환시 주요 회선에 대해서 일반전화로 백업하도록 해 비상대비 체제도 마련할 예정이다.


향후 행안부는 우선협상대상자를 대상으로 7월말까지 협약을 체결한 후, 인터넷전화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용약관을 공고해 12월에는 인터넷전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이용기관의 원활한 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넷전화서비스 등 신규서비스 도입 전문컨설팅을 추진하고, 정부중앙청사에 인터넷전화를 구축해 인터넷전화서비스 활성화에 앞장설 계획이다.

김진오 기자 jo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