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사협약 임금인상률 1.4%...10년래 최저치

노사가 협약으로 정하는 임금인상률이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가 13일 올 6월말 현재 100인 이상 사업장의 임금교섭 타결현황을 분석`발표한 바에 따르면, 전체 6781개 사업장 중 임금협상을 타결한 2451개소의 협약임금 평균인상률이 1.4%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상반기 5.1%보다 3.7%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외환위기’를 겪던 1998년(-3.4%)과 1999년(1.4%)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임금교섭 타결률(임금교섭이 타결 완료된 사업장 비율)도 36.1%로 전년 동기의 26.7%에 비해 9.4%포인트 높았고, 노사합의로 임금을 동결했거나 삭감한 사업장은 전체 타결사업장의 46.1%인 1129개소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49개소보다 7.6배 정도 늘었다.

구체적으로 동결 사업장은 987곳, 삭감 사업장은 142곳으로 이 또한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았다.


인상률을 규모별로 보면 5000인 이상 기업이 0.3%로 가장 낮았고, ▲500∼1000인 미만 1.1% ▲1000∼5000인 미만 1.5% ▲300∼500인 미만 1.9% ▲300인 미만 2.1% 등의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노동조합이 있는 사업장의 인상률은 0.8%로 무(無)노조 사업장 2.0%보다 낮은 반면, 임금교섭 타결률은 무노조 사업장이 46.1%로 유(有)노조 사업장 24.6%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부 관계자는 “최근 일부 경제지표가 호전되는 기미를 보이지만 경기가 완전히 회복된 건 아니다”면서 “임금 안정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협약임금 인상률은 노사가 교섭해서 정하는 사전 인상률로, 근로기준법상의 모든 임금에 대한 명목임금 상승률과는 다르다.


협약임금엔 정액급여와 고정상여금이 포함되지만, 초과급여, 특별상여금, 승진에 따른 인상분은 제외된다.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