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독일 '드레스덴' 벤치마킹하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황석원 박사 기고

우리나라는 응용과학에 대한 집중투자로 양적인 국가성장을 이뤘지만, 기초과학의 부진으로 인해 원천기술은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기초과학 육성을 위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드레스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구동독 지역에 위치한 드레스덴은 2차 대전 종전을 앞두고 대규모 폭격으로 초토화된 후 40여년 동안 경제적으로 쇠락의 길을 걸었다.

그러나 20년 전 독일 통일 후 정부의 대대적인 연구기관 유치, 연구개발투자 확대를 통해 '독일의 실리콘밸리'이자 유럽의 대표적 과학비즈니스 도시로 다시 살아났다.

경제 활력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의 하나인 1인당 구매력은 2001년 이후 매년 7% 이상씩 증가했다. 최근엔 증가율이 더 높아져 2008년에는 8.6%를 기록했다. 실업률은 극적으로 낮아져 독일 주요 도시 가운데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했다. 반면 인구는 독일에서 가장 빨리 늘었다.

드레스덴은 어떻게 명실상부한 과학비즈니스 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을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연구기관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다는 점이다.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막스플랑크 연구기관이 3개, 산업기술을 담당하는 프라운호퍼 연구기관이 11개, 다양한 연구 분야를 소화하는 라이프니츠 연구기관도 5개나 있다. 정부가 얼마나 이 지역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연구개발로부터 경제적 결실을 얻기 위해서는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 드레스덴에는 연구 성과를 활용하기 위한 유수 기업들이 모여들었다. 인피니온, AMD, 폭스바겐 등 세계적 기업들이 투자를 단행한 데는 정부의 지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AMD와 인피니온이 공장을 건설할 때 보조금으로 설비자금의 20%가 지원됐다. 기업의 수가 늘어나고 경제가 활성화되자 드레스덴 시의 부채가 급감해 재정이 좋아졌다. 정부 재정에서 지원된 것이 다시 정부 재정을 튼튼하게 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선순환 구조는 정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드레스덴 공대에서 배출되는 4만여 명의 연구 인력은 드레스덴에 위치한 기업과 연구소로 간다. 기업은 대학과 연구소에서 나오는 연구성과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연구소ㆍ기업ㆍ대학간 긴밀한 네트워크가 구축돼 있다는 얘기다.

우리나라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도 드레스덴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은 현재 추진지원단을 중심으로 기초과학연구원 설립ㆍ운영, 중이온가속기 구축, 비즈니스 기반 구축, 입지선정 및 공간조성,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등 6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추진하고 있는 과학비즈니스벨트도 연구개발 상업화를 통해 상응하는 경제적 성과를 얻는 선순환 구조를 갖춰나가야 한다. 이는 과학비즈니스 생태계 구축과 맥이 닿아 있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이 곁가지로 흐르지 않고 이같은 결실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기를 기원한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황석원 박사 hsw100@stepi.re.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