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린벨트에 경기장 'NO' 궁도.양궁장 'YES'

국토부, 개발제한구역법 시행령.규칙 개정안...8월7일부터 시행

앞으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내에는 공공청사나 대형 경기시설, 과학관 등의 설치가 금지된다. 제조업소나 재활용시설, 화물차고지 등도 신규 입지가 제한된다.

하남 등 그린벨트 훼손이 많은 곳에 보금자리주택단지가 지정될 경우 해제면적의 최대 20% 범위 내에서 개발지 주변 5km의 훼손지를 개발자가 복구해야 한다.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개발제한구역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의견수렴과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8월7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정안은 우선 그린벨트 입지가 허용돼 온 시설 중 훼손의 큰 원인으로 지목돼온 공공청사와 전문체육시설, 국제경기대회시설, 과학관 등을 허용하지 않도록 했다.

공장성격의 제조업소와 재활용시설, 치매병원, 화물차 차고지 등도 신규입지를 제한했다.

국토부는 최근 7년간 입지한 707개 대규모 시설 중 76%가 치매병원, 과학관, 국제경기장 등으로 68㎢가 훼손된 것으로 집계했다.

대신 그린벨트 보전.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궁도장, 사격장, 승마장, 씨름장, 양궁장 등의 생활체육시설은 추가로 입지를 허용했다.

행정구역의 50% 이상이 그린벨트로 지정돼 용지확보가 거의 불가능한 지자체는 훼손지 복구계획지역에 한해 국토부 장관 승인을 받아 실내체육관.노인요양시설을 건축할 수 있도록 했다.

허용되는 실내체육관은 2층 이하 높이 22m의 소규모로 한정된다.

그동안 과천(85.5%), 하남(83.3%), 의왕(83.1%), 의정부(70.4%) 등 서울 인접 지자체들은 그린벨트가 대부분이어서 생활편의시설 설치에 애로를 느껴왔다.

국토부는 입지 허용 및 제한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 지자체별 요구가 상충된다며 개정과정에서 추가 검토, 조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개정안은 보금자리주택단지 등으로 해제대상지역을 개발할 경우 주변지역을 공원, 녹지 등으로 복구하도록 했다.

해제지역에서 5km 이내 훼손지 중 해제대상면적의 10~20% 범위가 복구대상이며 이 복구사업으로 생활근거지를 상실하는 자에 대해서는 개발자가 이주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그린벨트에 건축하는 주택.근린생활시설 이외 일반건축물의 건폐율(60%)과 용적률(300%)은 각각 20%와 100%로 축소, 그린벨트 지정목적에 부합하도록 했다.

아울러 불법 건축행위, 토지형질변경, 물건적치, 폐기물 투기행위 등 모든 불법행위에 대해 원상회복을 위한 시정명령 및 이행강제금을 부과하고 금액도 상향조정, 실효성을 높이기로 했다.

이밖에도 도시지역 월평균 소득 이하 가구(최근 3년내 3회 이상 처벌된 자는 제외)에 대해서는 연간 평균 26만원 수준(올해 기준)을 지원해주기로 했다.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