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 지식재산권 교육콘텐츠, 폴란드 상륙

한·폴란드 특허청장 회담서 합의…“동유럽 비쉐그라드(Visegrad) 협력체제 마련 계기”

우리나라 지식재산권의 하나인 교육콘텐츠가 폴란드 시장을 파고든다.

특허청은 1일 고정식 청장과 방한 중인 알리샤 아담착(Alicja Adamczak) 폴란드 특허청장 은 ‘IP 파노라마(Intellectual Property PANORAMA) 폴란드어판 개발사업’ 등 두 나라 간 지재권 교육협력사업에 대한 공동관심사항을 논의하며 이같이 합의했다.

폴란드정부는 지난해부터 대학의 모든 교수들에게 지재권교육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하는 등 지재권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지재권교육 기반시설과 자료가 부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청은 폴란드 쪽 요청으로 지재권 교육사업에 적극 협조키로 하고 ‘IP파노라마’ 등 우리의 앞선 지재권 교육콘텐츠를 전파키로 했다.

‘IP파노라마(Intellectual Property PANORAMA)’는 특허청과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공동개발한 10개 주제의 멀티미디어 지재권교육콘텐츠다.

비즈니스현장에서 지재권 활용전략을 다룬 이야기방식의 강의프로그램으로 타이, 몽골, 포르트갈, 에스토니아 등 아·태지역 및 남부유럽 국가들과 현지언어 번역사업을 활발히 벌이고 있고? 2007년 WIPO총회 때 20여 참가국에서 자국어로의 개발요청을 받은 바 있다.

또 고정식 청장은 우리의 앞선 심사·검색시스템인 특허넷시스템에 대해 소개했다. 아담착 청장은 이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취약한 폴란드의 정보기반시설을 위한 정보화사업에 대해서도 협조 요청했다.

두 나라의 IP파노라마 폴란드어판 개발사업 등 양국의 지재권 협력사업은 우리와 동유럽 비쉐그라드(Visegrad) 협력체제(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4국의 정치·경제 협력체제)와의 지재권협력사업의 바탕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 밖에도 두 나라 특허청은 지재권교육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방안, 심사관 교환프로그램 개발, 발명교육자료 교환 등 지재권 교육을 위한 공동협력사업을 꾸준히 추진키로 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