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GM 채권단 "美 정부에 지배지분 요구할 것"

파산 위기에 몰린 제너럴 모터스(GM)의 채권단이 정부의 간섭을 배제한 지배 지분을 정부에 요구할 방침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해결 부채 20% 가량을 남겨두고 있는 GM 채권단은 이 같은 방안이 실현될 경우 납세자들이 현금 100만달러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GM 채권단은 GM이 신주를 발행해 채권단과 전미자동차노조(UAW)가 각각 51%, 41%의 지분을 갖고, 일반 주주들은 1%의 지분을 갖도록 하는 내용의 자구안을 미 정부에 제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GM의 국유화를 어떻게든 막아보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지난달 27일 미 정부는 GM과 크라이슬러가 제출한 자구안에 대해 "정부가 추가재정을 지원하기에 불충분하다"며 GM에게는 60일, 크라이슬러에게는 30일이라는 마지막 생존기회를 부여했다.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정부가 GM을 직접 운영할 뜻이 전혀 없다"고 밝혔지만 GM은 출자전환을 통해 정부를 최대주주로 앉히고 채권단에는 10%의 지분만 허용함으로써 GM을 사실상 국유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지난달 13일에는 재무부가 GM에 오는 6월 1일까지 파산보호 신청을 준비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채권단과 노조의 운신의 폭은 한층 좁아졌다.

하지만 채권단은 정부가 계획 중인 100억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이 없어도 신주발행을 통해 자체적인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오바마 대통령 직속 자동차 구조조정 태스크포스(TF)의 입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채권단의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희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실오라기만한 희망을 가졌던 GM에 복병이 등장했다. 지난달 30일 크라이슬러가 피아트와의 제휴 결렬로 파산보호 신청을 결정한 것이다.

마켓워치는 크라이슬러가 파산보호를 신청했음에도 뉴욕 금융시장의 반응은 뜻밖에 냉담했다며 하지만 GM의 파산은 실질적인 영향력이나 심리적인 충격 면에서 크라이슬러와 사뭇 다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크라이슬러는 10년 전 다임러에 인수되면서 이미 사라진 기업이나 다름없었다며 그러나 GM은 여전히 미국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마켓워치는 GM의 구조조정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파산보호 신청에 대한 우려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