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종창 "대기업 400개 부실화 우려"(종합)

금융권 채무가 500억원 이상인 1400여개 대기업 중 400여곳이 부실화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6월까지 세부적인 평가를 거쳐 부실징후가 뚜렷하다고 판단되면, 구조조정 절차를 밟게 된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30일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을 대상으로 기본평가를 실시한 결과 400여개 업체가 불합격됐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날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 직후 가진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개별 대기업에 대해서도 엄격한 평가를 통해 과감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채권은행들은 매년 4~6월 중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다. 올해는 1422개 대기업이 대상이다. 김 원장이 밝힌 400여개 기업은 1차 기본평가에서 영업실적과 현금흐름 등을 감안해 부실화 우려가 있는 업체를 추려낸 숫자를 의미한다.

채권은행들은 기본평가에 불합격한 업체를 대상으로 다시 부실징후기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2차로 세부평가해 구조조정에 착수한다. 금융당국은 양호한 실적을 거두고 있더라도 급격한 신용도 악화가 우려되는 업체는 2차 세부평가 대상에 포함시킨다는 방침이어서, 실제 대상은 더 늘어날 수 있다.

김 원장은 또 기업구조조정이 미흡할 경우 해당 금융기관장을 문책할 수 있다는 압박카드도 내놓았다. 그는 "현 시점에서 구체적인 안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유없는 구조조정 지연 등은 문책 사유가 될 수 있다"며 "해당 기관관장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부실책임이 있는 기업경영진이 경영권 유지를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남용하는 사례도 막겠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최근 워크아웃을 추진하던 일부 업체가 경영권 유지를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며 "부실책임이 있는 경영진이 관리인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채권금융기관이 법원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도록 지도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원장은 이날 오후 2시30분 은행회관에서 9개 은행장들과 간담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설명하고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독려할 계획이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