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SDI, 4분기만에 '적전'.. "그래도 선방했다"(상보)

삼성SDI가 1분기 760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4분기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하지만 1분기 경기침체와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판매감소 등을 감안하면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다.

삼성SDI(대표 김순택)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227억원과 영업손실 760억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순이익은 576억원이다. 지난 분기 대비 매출액은 4365억원(-29.9%), 영업이익은 1272억원(적자전환) 줄어든 수치이나, 순이익은 965억원(흑자전환) 증가했다.

사업분활에 따른 MD사업을 제외한 전년동기비 매출액은 769억(-6.9%), 영업이익 411억(적자지속)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882억원(흑자전환) 증가했다. 1분기 '저점'을 확인한 삼성SDI는 2분기에는 PDP와 2차전지를 중심으로 이미 수요와 판매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수익성이 개선되고, 실적 역시 크게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차전지, 점유율 0.9% 확대.. 상승세 '지속'= 전지사업부분은 계절적 비수기와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판매량은 감소했으나, 시장점유율은 지난 분기에 비해 0.9% 증가했다. 판매량은 전 분기에 비해 19% 줄어든 9000만개를 기록했으며, 매출은 3820억원(- 29%) 줄었다. 특히 1분기에는 수요다각화 전략에 따라 노트PC와 휴대폰을 제외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비중이 증가했다.

하지만 3월부터 유통재고가 점진적으로 소진될 기미를 보이며 세트 업체들의 재고 확보를 위한 리 스톡(Re-stock)용 수요와 일반 수요가 동시에 증가하고 있어 2분기 수요는 5억6700만개로 늘어나고 전체 라인의 가동률도 성수기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삼성SDI는 원형팩 및 고용량 전지 등 고부가 기종 판매 비중을 기존 44%에서 48%로 확대하고, 시장점유율도 추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삼성SDI는 2분기까지 중국내 라인을 5개에서 8개로 늘릴 방침이다. 특히 보쉬 사와의 합작사인 'SB Limotive사'의 자동차용 전지관련 '유럽 프로젝트' 또한 2분기부터는 구체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DP 판매량 86만대.. 전분기比 14% ↓= PDP사업부문 판매량은 지난 분기 대비 14% 감소한 86만대를 기록했으며, 매출액은 24% 감소한 4070억원을 기록했다. 50인치 풀HD 신기종 제품의 공급 차질과 42인치 제품 수요의 상대적인 증가로 인해 대형 비중은 지난 분기 대비 44%에서 38%로 감소했다.

하지만 중국 춘절특수로 인한 중국고객향 42인치 HD제품 판매가 지난 분기 대비 32% 증가하고, 러시아·브라질향 판매도 지난 분기 대비 106%가 증가하는 등 성장시장에서 판매가 급증했다. 특히 삼성전자와의 통합경영으로 개발효율이 향상돼 1분기에만 50인치 풀HD 고효율제품과 42인치· 50인치 HD급 원가 절감형 제품을 출시하는 등 사업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강화됐다는 평이다.

회사 측은 "2분기에는 미국의 디지털방송 전환에 따른 교체 수요 증가와 중국의 노동절 특수로 인해 수요는 지난 분기대비 7% 증가한 320만대로 늘어나고, 풀HD에 대한 수요비중도 29%에서 3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50인치 판매목표를 1분기대비 40% 이상 높이고, 58인치 풀HD 판매도 3배 이상 늘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해외 사업장의 모듈과 세트라인 통합을 100% 완료해 해외 전라인에서 PDP TV생산을 최적화한다는 방침이다.

◆CRT사업부, 천진· 멕시코· 브라질 생산 중단= CRT사업부문은 1분기 경기 침체 및 경쟁제품 가격하락에 따른 판매 감소로 전 분기에 비해 23% 감소한 400만대를 판매했다. 매출액은 28% 감소한 2020억원을 기록했다.

중국TV업체들의 LCD 생산비중이 증가하고, 브라질 환율저하에 따른 현지 TV업체 손익 악화로 업체들이 생산량을 줄인 것이 주된 요인이 됐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천진, 멕시코, 브라질의 CRT 생산을 중단했으며, 상반기 중으로 6개의 라인을 유지하기로 했다.

2분기에는 중국·동남아 등 TV업체들의 재고가 소진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수요는 1분기대비 200만대 증가한 150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21인치의 수요가 1분기대비 200만대 증가한 1100만대로 늘어나고 슬림 브라운관에 대한 수요도 400만대에서 500만대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윤종성 기자 jsyoon@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