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4대강 살리기]3개 댐 등 건설 9월부터 본격 착수

정부, 대통령에 중간보고...물 12.5억톤 추가확보.홍수방어키로

오는 9월부터 14조원 규모가 투입되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이 본격화된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은 물부족 시대에 대비한 용수확보와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방어, 수질개선 등이 핵심이다. 이에따라 물 12억5000만톤 추가 확보와 4대강 수질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기준 2급수 수준 개선 등이 추진된다.

전국 16개의 보와 3개의 중소규모 다목적댐을 건설하고 농업용저수지 96개의 증고, 하천내 퇴적토 준설 등의 사업이 실시된다.

정부는 27일 오후3시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을 담은 '4대강 살리기 합동보고대회'를 가졌다.

보고대회는 5월말 확정될 예정인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의 중간점검 형식으로 앞으로 3년여간 추진될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윤곽이 들어있다.

정부가 잠정 확정한 4대강 살리기 사업은 △물 확보 △홍수방어 △수질개선과 생태복원 △주민과 함께하는 복합공간 창조 △강 중심의 지역발전 등 5대 핵심과제로 분류된다.

우선 12억5000만톤의 추가 물 확보를 위해서는 물부족 시대에 대비해 16개 보와 3개 댐 건설, 96개의 농업용저수지 증고 등의 사업이 추진된다.

댐을 통한 용수 확보는 송리원댐(경북영주, 2억톤)과 보현댐(경북 영천, 2000만톤) 건설, 안동댐과 임하댐 연결(경북 안동, 3000만톤) 등이다.

홍수방어대책은 홍수조절능력 8억9000만톤 증대로 요약된다.

게릴라성 집중호우 등으로 제방을 통한 홍수방어가 실질적으로 어려워짐에 따라 4대강 본류의 퇴적토를 5억4000만㎥ 준설하고 홍수조절지(2개), 강변저류지(3개) 등을 조성하기로 했다.

노후제방 573㎞ 보강과 낙동강 및 영산강 하구둑 배수문 증설도 병행한다.

수질개선 대책으로는 생화학적 산소요구량(COD)과 BOD 등이 높은 34개 유역에 하수처리장을 신설하고 습지조성.수질정화식물 식재 등 생태하천 695㎞를 조성하기로 했다.

주민이 강에 쉽게 접근해 여가와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 복합공간을 조성하고 1411㎞ 길이의 자전거길 설치 등에 나선다.

강 중심의 지역발전을 이루기 위해 4대강 연계사업을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발굴, 추진하고 강 주변 역사유적.유물 복원과 농촌지역 명품마을 조성 등을 추진한다.

수계별로는 △한강 홍수방어 대책.레저관광 활성화 △낙동강 준설.댐건설 △금강 생태복원 △영산강 홍수방어 대책 등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

정부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경작지 보상을 위한 4대강별 보상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건설공사에 지역업체 참여를 40%까지 높이는 등의 방안도 마련했다.

심명필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장은 "5월말 마스터플랜 확정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면서 "건설공사는 사전준비하는 기간과 발주 등을 거쳐 9월부터 착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해양부는 이번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통해 홍수가뭄 방지와 수질문제 해결 등 기후변화로 인한 물 위기에 대비하고 우리나라가 수자원 강국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4대강 살리기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지방하천에 대한 종합계획도 2010년까지 수립, 단계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