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박쥐 마더";$txt="";$size="550,395,0";$no="2009042321210235681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신문 고경석 기자]박찬욱 감독의 '박쥐'와 봉준호 감독의 '마더'가 오는 5월 열리는 62회 칸국제영화제에 공식 초청됐다. '박쥐'의 박찬욱 감독은 공식 경쟁부문에 초청돼 전세계의 거장들과 황금종려상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친다. '마더'는 독창성과 작품성을 중요시 하는 주목할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됐다.
1954년 처음으로 칸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한 일본과 달리 한국영화의 칸 진출은 1984년 이두용 감독의 '물레야 물레야'가 주목할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된 것이 처음이었다. 칸영화제는 1980년대에 그다지 한국영화에 주목하지 않았다. '물레야 물레야' 이후에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1989)이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된 것이 전부였다.
'투캅스' '결혼이야기' 등의 기획영화가 주류를 이루던 1990년대 초반에는 한국영화의 칸 진출이 전무했다. 칸과 한국영화이 다시 인연을 맺기 시작한 것은 부산국제영화제가 출범한 1996년부터였다. 박신양이 주연을 맡은 양윤호 감독의 '유리'가 비공식 부문인 비평가주간에 초청된 데 이어 1997년 전수일 감독의 '내 안에 우는 바람'이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돼 한국영화의 위상을 높였다. 1996년부터 한국영화는 매해 칸영화제 상영작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칸국제영화제는 이때부터 한국영화에 큰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1990년대 후반은 한국영화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던 시기였다. 박찬욱, 김기덕, 홍상수 등의 젊은 감독들이 떠오르던 시기이기도 하다. 1998년 홍상수 감독의 '강원도의 힘'은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돼 특별언급되며 말 그대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이광모 감독의 '아름다운 시절'은 비공식 부문인 감독주간에 초청됐다. 칸국제영화제 공식 부문 첫 수상자는 장편이 아닌 단편영화에서 배출됐다. 송일곤 감독의 '소풍'이 1999년 단편 경쟁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것이다.
$pos="C";$title="취화선";$txt="";$size="400,574,0";$no="2009042408012442632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2000년대에 들어 한국영화에 대한 칸영화제의 애정공세는 더욱 뜨거워졌다. 거장 임권택 감독은 '춘향뎐'으로 한국영화 최초로 장편 경쟁부문에 초청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 해에는 홍상수 감독의 '오! 수정'이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됐고,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이 감독주간에서, 정지우 감독의 '해피엔드'는 비평가주간에서 상영됐다.
2001년은 단편영화들이 초청돼 한국영화의 명맥을 유지했다. 신동일 감독의 '신성가족'은 단편 경쟁부문에 진출했고, 김영남 감독은 학생 단편 경쟁 부문인 시네파운데이션 부문에 '나는 날아가고... 너는 마술에 걸려 있으니까'를 올려놓았다.
한국영화의 위상은 임권택 감독이 '취화선'으로 2002년 공식 경쟁부문에 진출해 감독상을 받으면서 전세계에 알려졌다. 그해에는 박진표 감독의 '죽어도 좋아'가 비평가주간에 초청됐고, 시네파운데이션에 '허니문'(박성진), '초겨울 점심'(강병화), '리퀘스트'(박진오)가 나란히 진출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칸영화제는 한국 독립영화에 대한 가능성을 미리 알아보고 지속적으로 주목해왔다. 굵직한 영화들이 칸 진출에 실패한 사이 '사연(死緣)'(박종우)이 감독주간 초청됐고, '굿나이트'(전선영)이 비평가주간에서 상영됐다. 단편 '원더풀 데이'(김현필)는 시네파운데이션에 진출했다.
2004년에는 한국영화가 황금종려상 문턱까지 이르며 전세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해다.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는 공식 경쟁부문에 초청돼 황금종려상에 이어 2등상에 해당하는 심사위원 대상을 받는 영광을 안았다. 홍상수 감독의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또한 '올드보이'와 함께 경쟁부문에 진출해 한국은 최초로 경쟁부문에 두 작품을 올려놓는 성과를 이뤄냈다. 이 해에는 김의석 감독의 '청풍명월'이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됐고, 김윤성 감독의 '웃음을 참으면서'가 감독주간에 초청돼 칸 관객들과 만났다.
2005년에는 작가주의 영화와 상업영화가 골고루 칸에 진출하며 한국영화의 힘을 과시했다. 홍상수 감독은 '극장전'으로 2년 연속 칸 경쟁부문에 진출한 한국 최초의 감독이 됐고, 김기덕 감독은 '활'을 주목할만한 시선에 진출시켰다. 김지운 감독은 '달콤한 인생'으로 공식 비경쟁부문에 초청돼 레드카펫을 밟았다. 류승완 감독은 '그때 그사람들'의 임상수 감독과 함께 '주먹이 운다'로 감독주간에 진출해 국제비평가협회상을 수상했다. 장률 감독의 '망종'은 비평가주간에서 상영돼 프랑스독립영화배급협회상을 받기도 했다. 단편 '조금만 더'(심민영)는 시네파운데이션에 초청됐다.
한국영화의 불황이 시작될 즈음 칸에 진출하는 한국영화들의 편수도 줄어들었다. 2006년에는 하정우 주연의 '용서받지 못한 자'(윤종빈)가 주목할만한 시선에 초청되고,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감독주간에 초청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2007년에는 또 다시 한국영화가 두 편이나 경쟁부문에 진출하며 건재를 과시했다. 이창동 감독의 '밀양'은 전도연에게 여우주연상을 안기는 성과를 이뤘고, 김기덕 감독의 '숨' 또한 경쟁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홍성훈 감독의 단편 '만남'이 시네파운데이션에 초청되고 신상옥 감독의 고전 '열녀문'은 칸 클래식 부문에서 상영됐다.
$pos="C";$title="올드보이";$txt="";$size="400,573,0";$no="2009042408012442632_4.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2008년엔 두 편의 상업영화가 비경쟁부문에 초청돼 칸의 레드카펫을 장식했다.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과 나홍진 감독의 '추격자'는 공식 비경쟁 부문에 나란히 초청돼 한국 상업영화의 힘을 보여주었다. 박재옥 감독의 단편 애니메이션 '스탑'은 시네파운데이션에서 3등상을 받으며 주목받았고, 칸 클래식 부문에서는 김기영 감독의 '하녀'가 상영됐다.
'박쥐'가 경쟁부문에 진출한 62회 칸국제영화제에는 그 어느 때보다 황금종려상을 향한 스타 감독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이안, 쿠엔틴 타란티노, 페드로 알모도바르, 미카엘 하네케, 켄 로치, 제인 캠피언, 알랭 레네, 두기봉, 차이밍량. 라스 폰트리에, 로우 예 등 쟁쟁한 이름들이 즐비하다. 많은 외신들은 '박쥐'를 강력한 황금종려상 후보작 중 하나로 꼽고 있다. 그 결과는 5월 24일(현지시간) 폐막식을 통해 알 수 있다.
고경석 기자 kave@asiae.co.kr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