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악성 미분양' 한달새 2400여가구 증가

국토부, 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공개

주택을 다 지을때까지도 분양이 이뤄지지 않은 준공후 미분양이 한달새 2454가구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지방이 지방 2438가구로 지방 미분양 적체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양도세 감면 등 정부의 미분양 감소책으로 전체 미분양 주택수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국토해양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2월말 기준)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16만1972가구로 전월(16만2693가구)대비 721가구 감소했다.

수도권은 2만5185가구로 전월(2만5531가구) 대비 346가구, 지방은 13만6787가구로 전월(13만7162가구) 대비 375가구가 감소했다.

서울은 지난달 2460가구로 지난달 대비 2%가량 미분양이 소진됐다. 인천을 제외한 경기 지역의 미분양주택수는 2만405가구로 지난달 대비 4.7%가량 줄어들었다.

반면 인천은 2320가구로 지난달보다 44.5%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에서는 경북지역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이 소진됐다. 경북은 1만5468가구를 기록 4.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도 1만6043가구를 기록 1.6%가량 미분양 물량이 소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남지역은 1만6926가구를 기록, 미분양주택이 지난달 대비 577가구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준공후 미분양은 5만0988가구를 기록했다. 수도권이 1346가구, 지방 4만9642가구다. 이는 전월 대비 2454가구 늘어난 수치로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16가구, 2438가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준공후 미분양은 건설 중 미분양 물량이 준공할 때까지 미분양돼 넘어간 부분이 있다"면서도 "일차적으로는 경기 침체로 인한 주택 수요 감소가 주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분양 물량 감소는 일차적으로는 경기 침체로 인한 신규 분양 물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며 "양도세 감면 등 미분양 감소책이 수도권 및 지방 미분양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