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 "한국 장수리스크 심각"

한국의 '장수리스크(오래사는 위험)' 문제가 세계 최고령국 일본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가 19일에 발표한 스페셜리포트 '장수리스크 산정과 국제비교'에 따르면 한국의 장수리스크는 평균 0.87로 미국 0.37, 일본 0.35, 영국 0.33과 비교해 2.35~2.64배 높았다.

우리나라의 장수리스크가 0.87이라는 것은 실제 은퇴기간이 사람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평균 87%가량 더 길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장수리스크가 높다는 것은 사람들이 대체로 자신의 은퇴기간을 실제보다 상당히 짧게 예상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노후자금 마련 등 은퇴준비 수준이 전반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높은 장수리스크에 대비해 개인 뿐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퇴직연금, 개인연금, 국민연금 등을 활용한 계획적인 은퇴설계가 시급하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마련이나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손성동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 연구실장은 "퇴직금은 근무 중에도 중간정산을 통해 찾아 쓸 수 있고 직장을 옮길 때 목돈을 손에 쥐면 욕심이 생겨 다른 용도로 전용되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퇴직연금은 긴급한 생활자금 이외에는 찾아 쓰기가 어렵고 이직을 하더라도 계속 적립해 갈 수 있기 때문에 노후자금 마련에 든든한 장치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래에셋퇴직연금연구소는 이번 리포트를 통해 추상적 개념으로 쓰이는 장수리스크를 일반인들이 알기 쉽도록 '사람들이 자신의 은퇴기간을 얼마나 정확하게 예상하고 있는지'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했다.

이를 위해 연구소는 장수리스크를 '개인이 예상한 은퇴기간'과 '실제 은퇴기간 사이'의 차이로 정의하고 '장수리스크=예상치 못한 은퇴기간·예상한 은퇴기간'의 산식을 통해 이를 수치화했다.

구경민 기자 kk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