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安교육 "입학사정관 가이드라인 곧 나올 것"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과 협의해 조만간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13일 SBS 라디오 '이승열의 SBS전망대'에 출연해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에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 일선 교육현장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안 장관은 "제도가 새롭게 전개되면 혼동이 있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혼동을 빵리 없애려면 입학사정관제가 어떤 기준에 의해서 어떻게 학생를 뽑느냐 하는 기준이 학교마다 명확히 제시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안 장관은 이어서 "각 대학에서 현재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고 정부의 가이드라인도 있다"며 " 조만간 대교협을 중심으로 워크샵을 열고 많은 대학들과 함께 올바른 방향을 정착시키는 논의를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는 학생을 제대로 뽑을 수 있는 사람이 입학사정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사정관 훈련과 학교 규모에 따라 사정관 수가 달라져야 한다는 점을 꼽았다.

또 같은 200점의 수능점수라도 평균점수가 200점인 고등학교에서 200점을 맞은 것과 평균점수 150점인 학교에서 200점을 맞은 학생을 구분해 내는 것이 입학사정관의 역할이라는 설명이다.

최근 대교협의 2011학년도 입시안 세미나를 통해 다시 논란이 된 3불(본고사 고교등급제 기여입학제 금지)폐지에 대해서 안 장관은 3불 정책을 깨는 어떤 시도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안 장관은 "3불은 철칙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상황으로 나온 것"이라며 "상황이 바뀌지 않는한 3불을 계속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옛날에는 대학별 본고사를 당연히 봤지만 지금 본고사를 다시 한다면 사교육비가 엄청나게 올라갈 게 뻔한데 이 상황에서 본고사를 부활하겠다는 것은 무리한 발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대입 전형이 선진화되고, 대학에서 시험을 볼 의미가 없어지는 그런 상황이 되면 대학이 시험을 보느냐, 안 보느냐가 사회적 관심도가 아닐 것"이라며 "그럴 때는 3불이라는 말이 필요 없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