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조조정 C&重·대한조선 '명암'

회생 가닥잡은 C&중공업...대한조선은 '안갯속'

유동성 위기를 겪던 일부 중소조선사가 구조조정의 여파에 휘말린 가운데 대표적 신흥 중소조선사인 C&중공업과 대한조선의 워크아웃 과정이 9일을 기점으로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C&중공업은 해외매각으로 기업회생의 실마리를 잡은 반면 대한조선은 대표이사를 사임시키는 등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C&해외매각으로 가닥...정상화가 최우선
C&중공업 채권단은 9일 C&중공업 해외매각을 사실상 확정 추진키로 하고 채권단 공동관리 시한을 내달 13일로 연장했다. 채권단은 메리츠 화재 주도로 주관사를 선정하는 등 C&중공업 해외매각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 외국계 사모펀드 2곳으로부터 투자의향서(LOI)를 받고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C&중공업의 한 고위관계자는 "해외매객은 채권단과 C&중공업은 물론 서남해권 조선 협력업체, 또 지역경제를 위해서도 상당히 바람직하다"며 "워크아웃의 목적이 기업의 정상화에 있는만큼 해외매각을 통해 정상화가 된다면 이는 모든것에 우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매각을 통한 기술유출 우려에 대해서는 "사실상 건조기술 외 원천기술은 보유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조선업계 2차 구조조정이 예고됐지만 국내 조선소들이 중소선사 인수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해외매각 길이 열린 것은 다행스런 일"이라고 설명했다.

▲사장 해임, 길 잃은 대한조선
반면 대한조선의 워크아웃 정국은 안개속이다. 대한조선은 9일 김호충 대표이사를 전격 해임시켰다. 김 전 대표는 실사지원팀의 사측대표 자리를 놓고 공동 대표이사인 박재영 부회장과 갈등을 겪어 왔다. 산은이 주축이 된 채권단은 김 전 대표를 지원팀 대표로 내정했으나 회사 내 임원들은 박 부회장을 대표로 추대하고 기업개선 및 구조조정을 진행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하며 대립각을 세워 왔다.

김 전 대표의 친 채권단적 성향을 지적하던 대한조선이 결국 그를 해임시키면서 이날까지 제출해야만 하는 경영관리계약서 제출 일정에도 문제가 생기는 등 대한조선의 워크아웃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대형 조선사가 인수의사를 표하지 않는 이상 자력회생이 어려운 상황에서 워크아웃 일정까지 불투명해져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우경희 기자 khwo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